
지난달 25일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만난 현지 정부 관계자는 대뜸 이렇게 말했다. 다른 콩고민주공 사람들도 비슷한 말을 했다.
원조 공여국으로 발돋움한 대한민국의 원조 현장을 취재하러 간 기자는 고개를 갸우뚱했다. 중국은 콩고민주공 등 아프리카에 대규모 원조를 쏟아 붓고 있는 원조 대국이다. 그런데 왜 현지인들은 중국을 싫어하는 것일까.
중국은 차관 형식으로 대규모 사회간접자본(SOC)을 건설해주고 있다. 한국의 2008년 아프리카 원조액은 1억 달러였지만 중국의 2007년 원조액은 179억 달러였다. 그런 중국이 ‘묻지마’식 투자를 하고, 중국 기업과 중국 노동자를 대거 참여시키며 사업을 독식해 현지인들의 불신을 사고 있다.
원조를 받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태도에도 문제가 없지 않다. 한 외교소식통은 “세계 각국이 오랫동안 원조를 계속하다 보니 아프리카 정부 인사들이 원조를 당연시하거나 공여국에 기회를 주는 것처럼 거드름을 피우는 풍조가 만연하다”고 전했다.
실제로 콩고민주공의 노르베르 카틴티마 농업부 장관은 기자를 만나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이달 시작하는 농촌개발 사업지 선정과 관련해 “왜 수도 킨샤사의 농촌 마을을 선택했나. 더 대규모로 했어야 하지 않나. 한국을 잘 아는 내가 장관을 할 때 기회를 잘 포착하라”는 말을 서슴없이 했다.
에티오피아의 외교소식통은 “에티오피아 정부는 웬만한 원조는 원조로 생각하지 않는다. 대규모 원조가 아닌 소규모 원조는 거절해버린다”고 말했다. 이한곤 주케냐 한국대사는 이를 ‘원조피로증’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은 지난해 한-아프리카 포럼에서 아프리카 원조를 현재의 2배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럴 때일수록 현지인들이 공여국에 갖기 쉬운 불신과 원조피로증이라는 ‘2개의 장벽’을 넘을 전략이 절실하다. 전영숙 에티오피아 KOICA 사무소장은 “정성스러운 원조”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남에게 베풀 때 더 겸손해지고 더 신중해야 한다’는 말을 되새겨야 할 때다.
윤완준 zeitung@donga.com
이수정 “십수 년 민주당 지원, ‘그대로 가야하나’ 혼란 빠져”
윤석열, 총장직 거는 건 與가 바라는일…檢, 중수청 앞 자멸할수도
진중권 “신현수도 친문이 잘라내는 것…文도 통제 못해”
홍준표 “아직도 문재인 세상…정신 못차리는 국민의힘”
“임기말 대통령 눈엔 뒤꽁무니만…관료들은 ‘몸 세탁’ 외국행”[최영해의 폴리코노미]
文 정부에서 사라진 김대중과 노무현의 유산[광화문에서/한상준]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