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노조 기아차 지부는 어제부터 시행된 타임오프제에 따라 회사가 급여를 지급하는 전임자를 181명에서 19명으로 줄여야 한다. 노조는 현행 수준 유지를 요구했지만 회사 측이 들어주면 위법이다. 어제 노조가 새로운 전임자 명단을 회사 측에 통보하지 않자 회사 측은 전임자와 임시상근자 등 204명에 대해 무급휴직 발령을 냈다. 아직까지 잘 버티고 있는 기아차가 무릎을 꿇게 되면 타임오프제 전체가 무너질 우려가 있다. 일부 기업은 7, 8월 타임오프제 무력화 투쟁에 나서겠다는 민주노총의 무리한 요구를 단협이나 이면계약으로 들어주고 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작년 30억 원이 넘는 노조 사업비를 올해 23억 원으로 줄였다. 전임자 수도 55명에서 30명으로 줄이고 그중 법정 한도인 15명을 뺀 나머지 15명의 임금은 노조 측이 부담한다. 현대중 노조는 2004년 민주노총을 탈퇴한 이후 상급단체 조합비로 내던 돈을 매년 20억 원이나 절약했다. 기아차의 한 노조원은 노조 홈페이지에 “금속노조에 납부하는 37억 원이면 조합비에 손대지 않고 전임자 임금을 해결할 수 있다”고 썼다.
노조 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는 세계 각국이 시행하는 글로벌 스탠더드다. 타임오프제는 이 원칙으로 가는 중간단계다. 예외를 두기 시작하면 13년간 유보됐다가 시행되는 타임오프제가 물거품이 될 수도 있다. 노조는 권위주의 시대에 부당하게 탄압받던 피해의식에서 벗어나 글로벌 노사 선진화 모델을 마련하는 데 대승적으로 동참해야 한다.
‘尹 태도’ 지적한 정세균에…김경율 “삼권분립 엿바꿔 드셨나”
윤석열의 마지막 전쟁? 檢수사권 대국민 여론전 뛰어들다
윤석열 “檢수사권 폐지 막을수 있다면 職 100번이라도 걸겠다”
이언주 “文, 선거 때마다 친일 프레임…실망 넘어 분노”
윤석열 “중수청 설치, 檢폐지 시도”… 3일 대구 방문해 추가메시지 낼듯
홍준표 “공수처 이어 중수청 설치? 文 수사 두려워서”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