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구청장은 직선으로 뽑으면서 구의회만 없애는 건 민주주의의 후퇴”라며 원안의 법사위 상정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민주당은 6·2지방선거에서 서울 인천 등 대도시 구의회에서 의석수를 대거 늘려 한나라당과 양분하게 된 마당에 차기 국회의원 총선에도 중요한 손발이 될 구의원들의 이해관계를 무시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한나라당 일부 의원도 동조하고 나섰다. 1일 출범한 통합창원시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담은 특별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위해 민주당 요구를 수용해야 한다는 구실도 작용했다. ‘내 식구’라고 할 수 있는 구의원 자리를 살리는 데 여야가 담합한 셈이다.
서울과 6개 광역시의 구의원은 1010명이다. 이들에게는 1인당 평균연봉 4000만 원씩 모두 404억 원이 국민 혈세(血稅)에서 지급된다. 교통 상하수도 쓰레기수거 등 주민생활과 직결된 행정을 특별시나 광역시가 도맡아 하기 때문에 자치구가 따로 할 일은 많지 않다. 생활권을 감안하지 않고 나눈 행정구역을 감안하면 자치구의 권한과 기능은 더 축소하고 특별시와 광역시에서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게 바람직하다. 뉴욕 런던 등 세계 주요 대도시 가운데 구의회를 둔 곳은 없다.
‘尹 태도’ 지적한 정세균에…김경율 “삼권분립 엿바꿔 드셨나”
윤석열의 마지막 전쟁? 檢수사권 대국민 여론전 뛰어들다
윤석열 “檢수사권 폐지 막을수 있다면 職 100번이라도 걸겠다”
이언주 “文, 선거 때마다 친일 프레임…실망 넘어 분노”
윤석열 “중수청 설치, 檢폐지 시도”… 3일 대구 방문해 추가메시지 낼듯
홍준표 “공수처 이어 중수청 설치? 文 수사 두려워서”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