덫에 걸린 반달곰 복원사업
러시아 출신 수컷
열매 안열리자 농가 온듯
농약 먹고 폐사는 처음
北 출신 암컷
2차례 올무 위기 넘겼지만…

▶본보 6월 30일자 A16면 참조
北서 들여온 지리산 반달곰 올무에 걸려 숨졌다
○ 수컷 곰 사인은 농약
2004년부터 시작한 반달곰 방사 사업은 초기에 곰이 민가로 와 벌꿀통을 뒤지거나 등산객을 쫓아다니는 바람에 실패 위기를 맞은 적이 있었다. 공단 관계자는 “지금은 아직 나무 열매가 열리지 않아 곰이 먹을 것을 구하기 어려운 시기”라며 “활동반경이 넓어진 곰이 민가까지 내려와 먹을 것을 뒤지다 폐사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 북한 출신 암컷 곰의 운명
지난달 29일 올무에 걸려 죽은 암컷 곰은 2007년과 2008년 두 차례 올무에 걸렸다가 구조된 적이 있지만 이번엔 위기를 피하지 못했다. 이 곰은 목에 올무가 걸린 채 나무에 올라가 버둥거리다 떨어지는 바람에 질식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곰은 지난해 초 야생에서 새끼를 낳은 뒤 한동안 소재 파악이 되지 않아 멸종위기종 복원센터의 가슴을 졸이게 하기도 했다. 당시 같은 시기에 새끼를 낳았던 북한에서 들여온 다른 암컷 곰(NF-10)은 새끼를 보호하려 애쓰다 탈진해 숨지는 장면이 폐쇄회로(CC)TV 카메라에 고스란히 찍혀 많은 사람을 안타깝게 했었다. 특히 두 마리 모두 가임연령(5∼7년생)대의 암컷 곰이었기 때문에 다른 곰보다 가치가 컸다. 센터 관계자는 “이들의 죽음으로 지리산에 방사된 곰 가운데 임신이 가능한 곰이 3마리로 줄어들었다”며 “자연증식에 어려움이 커졌다”고 전했다.
○ 지리산 야생 곰 이제 16마리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올 2월 야생에서 두 마리의 새끼를 출산한 또 다른 연해주 출신 어미 곰(RF-18)을 관찰한 결과 현재 새끼 한 마리만 데리고 다니는 것을 확인했다. 다른 한 마리는 영양결핍 등으로 자연사한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반달곰 복원사업을 위해 지금까지 방사한 29마리 중 14마리와 새끼 곰 2마리 등 총 16마리만 현재 지리산에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김용석 기자 nex@donga.com
[박제균 칼럼]윤석열 對 선거귀신
“또 저 옷이네” 1년째 같은 옷(?) 입는 윤석열 [청계천 옆 사진관]
“돈 드릴 테니 제발 집 좀 가져가세요.” [서영아의 100세 카페]
서울대 정치학과 출신 공무원은 왜 스님이 되었을까?
진중권, ‘尹 측면지원설’에 “내 계획, 여행가는 것밖에”
[단독]“아베, 거짓말로 올림픽 유치…원전 오염수 지금도 바다로”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