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친환경 건축지표' 만든다

  • 입력 2003년 11월 20일 13시 31분


코멘트
앞으로 서울 시내에 건물을 신축할 때는 자연 상태의 땅이 일정 비율을 넘어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벽면, 지붕을 녹화하거나 물과 공기가 통하는 포장재를 써서 자연 상태에 가깝게 만들어 그 비율을 맞춰야만 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규정한 '생태기반지표'를 만들어 이르면 내년부터 지구단위계획 시 적용하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생태기반지표란 전체 공간계획 대상지 면적 중 자연순환기능을 가진 토양 면적의 비율. 즉 자신이 건축을 할 땅에 자연 상태의 땅이 일정 비율 이상이 되어야 하며 그것을 시에서 수치로 정한다는 얘기다.

시의 의뢰로 생태기반지표를 만들고 있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김현수 수석연구원은 "여태까지는 공간계획시 건폐율이나 용적률 등 개발의 한계만 규정하고 환경의 질은 고려하지 않아 도시가 망가졌다"며 "도시에도 자연 상태의 땅이 어느 정도 있어야 물 순환기능, 생물서식기능이 생기므로 이러한 조건을 공간계획 시 미리 정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생태기반지표는 유형별 면적에 그 유형에 따른 가중치를 곱한 각각의 합을 전체 대상지 면적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이 때 가중치는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처럼 전혀 생물이 서식할 수 없는 땅을 0, 완전한 자연상태의 땅을 1로 보고 그 중간은 틈새가 있는 포장 0.3, 부분포장 0.5 등 땅의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예를 들어 100㎡의 땅에 콘크리트 건물이 50㎡, 녹지가 40㎡, 투수성 보도블럭이 10㎡라면 이 땅의 생태기반지표는 (50×0)+(40×1)+(10×0.3)을 전체면적인 100으로 나눈 0.43이 된다.

연구원이 현재 서울 각 지역의 생태기반지표를 계산해보니 강남지역의 경우 0.2 수준이어서 도시의 사막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신규 주택지의 경우 0.6 이상, 상업지역의 경우 0.3 이상을 적용해 서울 전체가 0.3~0.6이 되도록 건의할 방침이다.

시 도시계획과는 "선진국의 주요 도시는 이미 이와 비슷한 지표를 만들어 활용하고 있다"며 "1월에 용역 결과가 나오면 내년부터 지구단위계획을 세울 때 적용하고 이후로는 도시계획조례에 반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채지영기자 yourca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