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생산된 지 10년이 안된 공산품이나 가공식품의 결함으로 사고를 당한 소비자는 제조업체의 고의나 과실을 입증하지 못해도 피해금액 전액을 배상받을 수 있게 된다.
재정경제부는 8일 이같은 내용의 PL법 제정시안을 만들었다.
17일 공청회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해 내년초에 국회에 제출, 법이 제정되는 대로 시행할 예정.
이와 함께 재경부는 사후배상 뿐만 아니라 제품안전의 사전관리 및 감독 강화를 위해 △제조과정상의 소비자 안전을 위한 기준 및 사업자 의무 △이를 지키지 않아 발생한 소비자 피해에 대한 구제 등을 총괄적으로 규정하는 소비자제품안전법도 내년에 제정하기로 했다.
재경부는 또 불특정 다수가 피해를 보았을 경우 피해자 중 1명이 소송을 통해 보상을 받으면 다른 피해자들도 별도의 소송절차없이 보상받을 수 있도록 하는 집단소송법의 제정도 추진하기로 했다.
〈신치영기자〉higgledy@donga.com
[김순덕의 도발]미안하지만 文보유국과 비교되는 미얀마
[송평인 칼럼]가짜 진보 몰아낼 3년의 시작일 뿐인데…
윤희숙 “백신 장담하고 사라진 정세균…국민이 얼마나 만만하면”
왜 정부는 전체 국민 백신접종률을 발표하지 않을까[이진구기자의 대화, 그 후- ‘못다한 이야기’]
이준석 “내가 차마 말 못했는데 김종인 ‘주호영, 安과 작당’ 정확했다”
이성윤 기소 ‘키’ 쥔 조남관 총장 권한대행의 최종 결정은?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