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한복판서 멈춰선 구급차…오라는 응급실 '0' [히어로콘텐츠/표류①]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3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표류-생사의 경계에서 떠돌다
[上]구급차-응급실 밀착 관찰기

누구나 1분, 1초에 생사가 갈리는 응급상황에 처할 수 있다. 이런 사고에 생명을 잃지 않도록 우리 사회는 의료안전망을 구축해왔다. 그런데 의료 선진국이라는 한국에서 환자가 도로 위를 떠돌고 있다. 구급차가 출동하고도 1시간 넘게 헤매는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를 3분마다 1명꼴로 겪는다. 환자 10명 중 1명은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채 다른 병원으로 이송된다.

동아일보 히어로콘텐츠팀은 지난해 10월부터 올 3월까지 응급실과 구급차에서 37일을 보내며 26명의 환자와 그 가족들을 인터뷰했다. 응급환자가 치료를 받지 못한 채 무력하게 떠도는 ‘표류’는 운이 나쁜 누군가가 어쩌다 겪는 일이 아니었다.
붉은 경광등을 켠 구급차 안에서 세 남자가 사투를 벌이고 있다. 시린 칼바람이 불던 1월 12일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 인근 6차로 도로에 구급차 한 대가 서 있다. 이미 퇴근길 정체가 풀리고도 남았을 오후 9시 19분인데 최경환 잠실119구급대 반장이 탄 구급차는 달리는 차들 사이에서 외로이 멈춰 서 있다.

구급차 안에서 가슴에 전극을 주렁주렁 단 진수(가명·68) 씨는 가쁜 숨을 몰아쉬고 있다.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그가 구급차에 탄 건 오후 8시 37분. 이미 42분이 지났다.

최 반장이 응급실 직원의 대답을 기다리며 정 반장에게 “다른 병원에 전화해 봤냐, 응급실 자리가 있냐”고 묻고 있다.
최 반장이 응급실 직원의 대답을 기다리며 정 반장에게 “다른 병원에 전화해 봤냐, 응급실 자리가 있냐”고 묻고 있다.
최 반장이 연신 전화를 걸었다. 엄지로 발신 기록을 훑었다. 가까운 거리순으로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성모병원, 마지막으로 은평성모병원까지…. 환자를 태우고 나서 이미 21곳에 전화를 건 터였다.

최 반장은 다시 전화를 들었다. 22번째 병원이다. 분초를 다투는 순간에도 차분한 안내 음성이 흘러나왔다.

“안녕하십니까, 이대목동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입니다. …의무기록, 진단서 등 제 증명 발급 문의는 1번, …기타 문의는 0번을 눌러주십시오.”

0번을 눌렀다. 연결음, 상담원, 다시 연결음을 거쳐 59초 만에 응급실로 연결됐다. “68세 남자 환자인데 가슴 통증이랑 호흡 곤란이 있습니다. 수용 가능할까요?”

정진우 반장(왼쪽)과 최경환 반장이 각자 스마트폰을 쥐고 병원에 전화를 걸고 있다. 들것에는 진수(가명) 씨가 가슴에 손을 올려둔 채 누워 눈을 질끈 감고 있다.
정진우 반장(왼쪽)과 최경환 반장이 각자 스마트폰을 쥐고 병원에 전화를 걸고 있다. 들것에는 진수(가명) 씨가 가슴에 손을 올려둔 채 누워 눈을 질끈 감고 있다.
진수 씨는 오후 7시 10분부터 가슴이 아팠다고 했다. 손목시계를 확인하는 순간, 초조함이 밀려온다. 환자 상태를 전하는 최 반장의 말소리가 더 빨라졌다. 만약 심장에 이상이 생긴 거라면, 나아가 심장 혈관이 막혀 있다면 가슴 통증이 시작되고 90분 안에 치료를 받아야 한다.

진수 씨의 생사가 달렸을지 모를 시간, 구급차가 우두커니 서 있는 이유는 오라는 응급실이 없어서다. 대형병원 56곳이 모여 있는 서울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일이다. 매일 119구급대원들이 겪고 있는 일이기도 하다.

“근처에서 수배가 안 돼요?” 강남에도 병원이 많지 않으냐는 질문이다. 이대목동병원은 구급차의 위치로부터 30분이 넘는 거리에 있다.

“네…. 다 안 된다고요.” “잠시만요.”

환자를 태운 구급차가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 인근 6차선 도로에 멈춰 서 있다. 출동에 나선 잠실119구급대 대원 세 명 모두 전화를 돌리며 응급환자가 갈 병원을 알아보고 있다.
환자를 태운 구급차가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 인근 6차선 도로에 멈춰 서 있다. 출동에 나선 잠실119구급대 대원 세 명 모두 전화를 돌리며 응급환자가 갈 병원을 알아보고 있다.
길어지는 침묵에 고개를 돌려 다른 병원에 전화를 걸던 정진우 반장에게 물었다. “전화해 봤어?” “지금 안 된대. 중환자실에 빈 병상이 없대요.”

잠시 후 응급실 직원은 “저희도 병상이 없어서 수용이 안 될 것 같습니다”라고 말했다. 3분 1초의 통화가 끝났다. 바로 23번째 병원에 전화를 건다.

내내 눈을 감고 통증을 참던 환자가 쥐어짜는 목소리를 냈다. “세상에 이런 경우가 있어요? 심장이 이렇게 아픈데….”

동아일보 히어로콘텐츠팀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응급실과 구급차에서 37일을 보내며 병원을 찾아 표류하는 환자와 그 가족을 인터뷰했다. 1월 12일은 최 반장의 출동에 동행했던 날이었다. 이날 밤 기자의 기록은 이렇게 끝난다. ‘여의도성모병원 응급실에 도착하기까지 1시간 15분.’

● “자리 없어요” 이어지는 거절
“심장이 ‘쿵쾅쿵쾅’ 너무 크게 뛰어요.”

진수 씨가 저릿한 통증을 처음 느낀 건 약 2시간 전. 퇴근하고 집으로 가던 길이었다. ‘이러다 설마’ 할 만큼 통증이 심해진 건 오후 8시 37분. 아내는 119로 전화를 했고 5분 만에 구급차는 도착했다.

최경환 잠실119구급대 반장의 구급차가 서울 송파구 삼전동 진수 씨의 집에 도착했을 때 그는 가슴을 움켜쥔 채 고통스러워했다.

서둘러 진수 씨를 태웠지만 구급차는 달릴 수 없었다. 오후 8시 48분, 최 반장은 인근 응급실 병상 정보가 뜨는 구급대용 ‘병상 정보 상황판’ 애플리케이션(앱)을 열어 병원 목록을 훑었다.

최 반장이 구급대용 ‘병상 정보 상황판‘ 애플리케이션을 훑은 뒤 병원 응급실에 전화를 걸고 있다.
최 반장이 구급대용 ‘병상 정보 상황판‘ 애플리케이션을 훑은 뒤 병원 응급실에 전화를 걸고 있다.
가장 가까운 삼성서울병원에는 ‘―35’라는 숫자가 뜬다. 35명이 대기 중이란 뜻이다. 빈 병상이 날 가망이 없는 숫자다. 서울아산병원은 ‘―9’였다. 전국에서 환자가 몰리는 이른바 ‘빅5’ 병원의 응급실은 늘 이렇다.

20분 이내에 있는 강동성심병원 응급실에는 빈 병상이 있다고 표시됐다. 그래도 구급차는 시동을 걸지 못했다. 응급실은 병상이 있지만 ‘중환자실에 병상이 없다’는 경고가 함께 떴기 때문이다. 만약 진수 씨를 심장 모니터와 인공호흡기 등을 갖춘 중환자실로 옮겨야 한다면 다시 병원을 찾아 거리를 헤매게 된다는 뜻이다.

건국대병원은 빈 병상이 있다고 표시됐다. 곧바로 전화를 걸었다.

“송파 잠실 구급대원이고요.”

“혹시 저희 병원에 다니는 분이세요?” 환자의 상태 설명이 끝나기도 전에 응급실 직원이 물어왔다.

“그건 아니고 가슴 통증이랑….”

“병상 없어서 다 대기 중입니다.”

● 찢어진 지도, 불빛 없는 등대
이 환자의 자택 근처 5km 안에는 대형병원 5곳이 있다. 모두 진수 씨 받기를 거절했다. 응급실 빈 병상이 없거나 심장 검사를 할 의사가 없다고 했다. 최 반장의 전화기 너머로 ‘죄송한데요’로 시작하는 대답이 계속 들려왔다.

구급차 앞 좌석에 응급실에 빈자리가 있는지 보여주는 상황판이 붙어 있다. 진수 씨 자택 근처 대형병원 5곳 중 4곳은 응급실에 빈자리가 없다.
구급차 앞 좌석에 응급실에 빈자리가 있는지 보여주는 상황판이 붙어 있다. 진수 씨 자택 근처 대형병원 5곳 중 4곳은 응급실에 빈자리가 없다.
“중환자실에 빈 병상이 없어서요.”(한양대병원)

“응급으로 심장 검사가 안 돼요.”(을지대병원)

“가슴 통증 환자가 너무 많아서 시술도 못 하고 있어요.”(고려대 안암병원)

진수 씨 부인의 표정이 점점 어두워졌다. “응급실 자리가 없는 거예요? 119만 타면 그냥 (병원에) 가는 줄 알았는데….”

2주 전에 이송했던 호흡곤란 환자는 응급실에 들어가지 못했다. 병원이 없어 빈 병상이 표시된 곳으로 구급차를 급히 몰았지만 의식을 잃은 응급환자가 오고 있다고 했다.

응급실은 일찍 온 순서가 아니라 생명이 위태로운 환자 순서로 진료한다. 다른 중증 환자가 줄지어 대기하고 있을지도 모르는 곳으로 무작정 향했다간 진수 씨가 되레 위험해질 수 있다.

이날 밤 구급차는 찢어진 지도 반쪽을 들고 망망대해를 항해하는 것처럼 보였다. 의료 인프라가 집중된 서울 한복판에서 밤마다 응급 대란이 벌어진다면 응급실 중환자실 의료진이 모두 가동되는 병원이 어딘지 찾아주는 시스템이 있을 법도 한데, 그런 시스템은 없다. 지금까지 병원의 빈 병상과 의사 당직 현황을 119에 제공하려는 시도는 번번이 무산됐다. 아직도 구급대가 일일이 전화를 걸 수밖에 없는 구조다.

● 열나면 여전히 “진료 어려워요”
전화가 길어지자 누워 있던 환자가 신음을 흘렸다. 최 반장이 큰 소리로 물었다. “환자분, 지금 통증이 더 심하세요?” 환자가 겨우 고개를 끄덕인다. “좀….”

두 반장은 다급해진다. “국립중앙의료원 뭐 들어온 거 있어?” “수용 불가. 중환자실 풀(만실).” “중앙대병원은?” “‘모든 환자 불가’.”

진수 씨는 38도의 미열이 있고 사흘 전부터 잔기침을 했다. 응급실 직원은 고개를 저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의심되니 검사를 해야 하는데 격리실에 빈 병상이 없다고 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10월 응급실에 ‘응급환자는 우선 진료부터 하고 코로나19 검사는 나중에 하라’는 지침을 내렸으나 집단감염이 발생하면 오롯이 피해를 감수해야 할 병원은 소극적이었다. 정부 지침과 현장이 따로 놀고 있었다.

손종완 반장이 내비게이션으로 병원까지의 거리와 시간을 가늠하고 있다. 초응급 환자는 1분, 1초마다 소생 가능성이 준다. 거리가 먼 병원에 가면 치명적일 수 있다.
손종완 반장이 내비게이션으로 병원까지의 거리와 시간을 가늠하고 있다. 초응급 환자는 1분, 1초마다 소생 가능성이 준다. 거리가 먼 병원에 가면 치명적일 수 있다.
서울 안에서 병원을 찾지 못한 최 반장은 경기 성남시 분당제생병원에 전화를 걸었다. 심장 검사는 해줄 수 있다고 했지만 코로나19가 양성이면 귀가하는 조건이었다. 빈 격리실이 없어서 입원이 어렵다는 이유였다.

“그럼 코로나면 어떻게 되는 건가요?” 눈물이 그득한 진수 씨의 아내가 묻는다.

환자가 놀랄까 봐 차분히 설명하고 있지만 최 반장의 머릿속은 복잡하다. 만약 코로나19 양성이면서 심장도 이상이 있다고 판명된다면…. 격리 병상도 있고 응급 시술도 가능한 병원을 찾아 다시 도로 위를 헤매야 한다. 자칫 제때 치료받지 못할 가능성도 있었다. 분당으로 가는 건 포기한다. 최 반장은 다시 전화기를 들었다.

응급실 ‘핫라인’ 번호로 전화했으나 받지 않아 구급대원들이 병원 대표번호를 검색해 보고 있다.
응급실 ‘핫라인’ 번호로 전화했으나 받지 않아 구급대원들이 병원 대표번호를 검색해 보고 있다.


● ‘핫라인’에 전화해도 자동응답기로
오후 9시 26분. 24번째로 한양대구리병원에 전화를 걸었다. “지금은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다시 이용해….” ARS 전화를 끊으면서 최 반장은 지난해 봄 유독 안타까웠던 환자를 떠올렸다. 숨을 제대로 못 쉬는 90대 할머니를 구급차에 눕혀 두고 30곳 넘게 전화를 돌리고 있었다. 곧 돌아가실 것 같았다. 귀가 뜨거워지도록 전화를 걸어 봐도 오라는 병원이 없었다.

“그만, 응급실 그만 찾으세요. 집에서 편히 임종하게 해드리고 싶어요.” 한 시간쯤 떠돌았을 때 할머니의 가족이 말했다. 결국 최 반장은 할머니의 집으로 구급차를 돌렸다.

한 구급대원의 스마트폰 통화 기록. 이날 구급대원들은 진수(가명)  씨가 여의도성모병원 응급실에 들어가기까지 모두 31통의 통화를 했다.
한 구급대원의 스마트폰 통화 기록. 이날 구급대원들은 진수(가명) 씨가 여의도성모병원 응급실에 들어가기까지 모두 31통의 통화를 했다.
정 반장은 이대서울병원에 전화를 걸었다. 23번째 병원이다. 상담원은 이미 응급실에 너무 많은 전화가 걸려와 연결이 되지 않을 수 있다고 했다. 실제 정 반장의 전화는 응급실에 닿지도 않았다.

구급대에 주어진 응급실 번호는 무늬만 ‘핫라인’이었다. 세 번 걸면 한 번은 ARS나 상담원으로 넘어갔다. 정부는 응급환자 이송 문제가 지적될 때마다 ‘핫라인’ 신설을 대책으로 내놓았지만 공허한 다짐이었다. 구급대는 고장난 무전기를 든 것이나 다름없었다.

● 이송 후엔 환자 생사도 알 길 없어
25번째는 서울 중랑구 녹색병원. 전화를 받지 않았다. 이제 서울엔 전화할 병원이 몇 곳 남지 않았다. 26번째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성모병원이었다. 같은 내용을 반복했다. 68세 남성, 가슴 통증, 호흡 곤란…. “잠시만요”라는 말 뒤로 ‘엘리제를 위하여’가 흘러나온다.

최 반장이 26번째 전화를 건 병원인 여의도성모병원에 “응급환자 진수 씨를 받을 수 있나” 문의하고 있다. 구급차 안은 좌석에 앉으면 환자가 누운 들것에 무릎이 닿을 정도로 좁지만 구급대원들은 실시간으로 환자 상태를 살피며 병원을 찾는다.
최 반장이 26번째 전화를 건 병원인 여의도성모병원에 “응급환자 진수 씨를 받을 수 있나” 문의하고 있다. 구급차 안은 좌석에 앉으면 환자가 누운 들것에 무릎이 닿을 정도로 좁지만 구급대원들은 실시간으로 환자 상태를 살피며 병원을 찾는다.
멜로디가 서너 바퀴 돌았을까. “오시면 될 것 같아요.” 드디어 구급차가 출발했다. 한강을 따라 한참을 달린 오후 9시 52분, 여의도성모병원에 도착했다. 병원 26곳에 전화를 31차례 한 끝이었다. 진수 씨의 아내가 119에 전화한 지 1시간 15분 만이다. 진수 씨처럼 구급대가 출동한 후 응급실에 도착하기까지 1시간 넘게 걸린 환자는 2021년 한 해 전국에서 19만6561명이었다. 3분마다 1명꼴이다.

진수 씨를 내려주고 최 반장은 1.5L짜리 물을 꿀컥꿀컥 마셨다. 환자는 살았을까. 심장은 괜찮을까. 구급대는 직접 이송한 환자의 진료 결과는커녕, 생사조차 알 수 없다. 개인정보라는 이유로 구급대에 알려주지 않는다. 최 반장이 말했다. “아쉽죠. 만약에 알 수 있으면, 다음에 비슷한 환자를 태울 때 더 잘할 수 있을 텐데.”


동아일보는 창간 100주년을 맞은 2020년부터 히어로콘텐츠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히어로콘텐츠팀의 ‘표류: 생사의 경계에서 떠돌다’와 디지털 스토리텔링 ‘그들이 구급차를 탔던 날’ 등은 저널리즘의 가치와 디지털 기술을 융합해 차별화한 보도를 지향합니다. ‘히어로콘텐츠’(original.donga.com)에서 디지털 플랫폼에 특화한 인터랙티브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생사의 경계에서 표류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디지털로 구현한
‘그들이 구급차를 탔던 날’
(original.donga.com/2023/sos1)

응급환자와 구급대원들이 구급차에 갇혔던 75분을 숨소리까지 담은
‘강남에 응급실이 없었다’
(original.donga.com/2023/sos2)

히어로콘텐츠팀
▽팀장: 조건희 기자 becom@donga.com
▽취재: 송혜미 이상환 이지윤 기자
▽프로젝트 기획: 위은지 기자 ▽사진: 홍진환 기자
▽편집: 하승희, 양충현 기자 ▽그래픽: 김충민 기자
▽인터랙티브 개발: 임상아 뉴스룸 디벨로퍼 임희래 인턴
▽인터랙티브 디자인: 곽경민 인턴

본 기사는 3월 28일자 동아일보 A1·2·3면에 실렸습니다.
본 기사는 3월 28일자 동아일보 A1·2·3면에 실렸습니다.


여수=이지윤 기자 asap@donga.com
조건희 기자 becom@donga.com
송혜미 기자 1am@donga.com
이상환 기자 payback@donga.com


#응급상황#의료안전망#응급실 뺑뺑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