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체적인 재원 조달 방안은 없어
洪부총리 “재정 상황도 고려해야”

정세균 국무총리는 코로나19 방역 조치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에게 정부가 보상을 주는 손실보상제를 연일 강조하고 있다. 기재부가 난색을 표했지만 정 총리가 “기재부의 나라냐”고 압박하면서 정부는 법적 제도적 검토에 착수했다. 권칠승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도 22일 “손실보상제 도입 자체는 필요하다”고 거들고 나섰다.
정 총리가 손실보상제 제도화를 강조하는 건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의 이익공유제 제안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대표는 이날 플랫폼 업계 단체들과 간담회를 갖고 이익공유제 참여를 독려했다. 이 대표는 “상생과 연대를 플랫폼 기업들이 더욱 튼튼하게 키우고 발전시키는 데 (집권 여당이) 힘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정 총리와 이 대표도 각각 “단세포적 논쟁에서 벗어나자”, “왼쪽 깜빡이를 켜고 우회전하고 있다”며 이 지사를 비판한 바 있다. 재정 투입의 효율성과 경제적 영향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경제 지원 대책이 여권 대선 후보들 간의 의제 선점을 위한 난타전으로 번지고 있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저마다 다른 방법론을 내세우고 있지만 구체적인 재정 조달 방식에 대한 고민은 없다는 점이다. 당장 손실보상제의 경우 적게는 10조 원에서 많게는 100조 원에 가까운 재원이 필요하다. 정치권의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홍 부총리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재정은 화수분이 아니기 때문에 재정 상황, 재원 여건도 고려해야 할 중요한 정책 변수 중 하나라는 점을 늘 기억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상준 기자 alwaysj@donga.com
“박범계 장관님 살려주십시오” 평검사가 올린 풍자글
“땅 샀는데 갑자기 신도시 지정된 것” LH투기 옹호한 변창흠
[이기홍 칼럼]코로나보다 집요한 정권 포퓰리즘… 퇴치 백신 나올까
춘천 간 이낙연 대표, 얼굴에 계란 테러 봉변[청계천 옆 사진관]
정상명-안대희-박영수… ‘윤석열의 사람들’ 관심
조국 “尹, 표적수사하다 사직” 권경애 “검찰해체하다 사퇴 만들어”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