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청과 전공의 205명 뽑는데
53명 지원… 필수의료 줄줄이 미달 내년도 상반기(1∼6월) 레지던트 모집 결과 필수의료 분야 중 소아청소년과 지원율이 2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원이 205명인데 지원자는 53명뿐이었다. 심장혈관흉부외과, 산부인과, 외과 등의 필수의료 분야들도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레지던트는 입원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며 당직을 서고, 응급 상황에 대처하는 병원 핵심 인력이다. 이 때문에 레지던트 미달과 공백 사태는 향후 의료 공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인기과-비인기과 양극화 뚜렷 전문의가 되기 위해서는 의대 졸업 이후 의사 면허를 취득한 뒤 인턴 수련을 1년 하고, 이후 진료 과목을 선택해 레지던트 수련을 3∼4년 거쳐야 한다. 8일 보건복지부는 ‘2024년도 상반기 레지던트 1년 차 모집 지원 결과’를 발표했다. 총 140개 병원(정원 3345명)에 3588명이 지원했다. 최종 선발된 이들은 내년 3월에 레지던트 1년 차 업무를 시작한다. 떨어진 이들은 다음 선발을 기다리면서 대기해야 한다. 이른바 필
53명 지원… 필수의료 줄줄이 미달 내년도 상반기(1∼6월) 레지던트 모집 결과 필수의료 분야 중 소아청소년과 지원율이 2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원이 205명인데 지원자는 53명뿐이었다. 심장혈관흉부외과, 산부인과, 외과 등의 필수의료 분야들도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레지던트는 입원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며 당직을 서고, 응급 상황에 대처하는 병원 핵심 인력이다. 이 때문에 레지던트 미달과 공백 사태는 향후 의료 공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인기과-비인기과 양극화 뚜렷 전문의가 되기 위해서는 의대 졸업 이후 의사 면허를 취득한 뒤 인턴 수련을 1년 하고, 이후 진료 과목을 선택해 레지던트 수련을 3∼4년 거쳐야 한다. 8일 보건복지부는 ‘2024년도 상반기 레지던트 1년 차 모집 지원 결과’를 발표했다. 총 140개 병원(정원 3345명)에 3588명이 지원했다. 최종 선발된 이들은 내년 3월에 레지던트 1년 차 업무를 시작한다. 떨어진 이들은 다음 선발을 기다리면서 대기해야 한다. 이른바 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