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北러 정상회담뒤 기술진 방북
동시 다발 미사일 도발 가능성도”

20일 정부 고위 관계자 등에 따르면 한미는 9월 북-러 정상회담 이후 러시아 기술진이 북한을 직접 방문하는 등 도움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정찰위성 동체 등 발사체 기술은 물론이고 위성체 기술에도 도움을 줬다는 것. 북한이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에 포탄 등 무기 지원을 해준 대가로 러시아가 이런 기술을 지원한 것으로 보인다. 올해 5월과 8월 북한은 정찰위성 시험 발사에 두 차례 모두 실패했는데 당시 원인은 로켓 엔진 결함으로 추정됐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발사체뿐만 아니라 러시아의 대북 기술 지원으로 정찰위성의 해상도 역시 향상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앞서 군은 5월 북한 정찰위성 발사 실패로 서해에 추락한 ‘만리경 1호’의 주요 부분을 인양해 미국과 공동 조사한 결과, 군사적 효용성은 전혀 없다고 평가한 바 있다. 한미는 북한이 현재 개발한 정찰위성인 ‘만리경 1호’의 해상도가 5∼10m급으로 조악한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미는 최근 북한 정찰위성 발사체 등 발사 장비들이 평안북도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인근으로 이동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승인만 있으면 북한은 일주일 내 발사대 기립, 액체연료 주입 등을 거쳐 발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이 1, 2차 정찰위성 발사 때보다 공을 들여 준비했다”고 전했다. 한미 당국은 북한이 최근 신형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용 고체연료 엔진 시험에도 나선 만큼 정찰위성 외에도 IRBM을 쏘아 올리는 등 동시다발적 도발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신규진 기자 newj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