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최인호 수석대변인은 25일 논평을 통해 “이번 사건은 다른 누구도 아닌 공당의 대표가 저지른 성추행 사건”이라며 “충격을 넘어 경악을 금치 못할 일”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의당은 입장문에서 발표한 것처럼 이 사건을 무관용의 원칙으로 조치를 취해야 하며 아울러 또 다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여당 내부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한 여당 의원은 “솔직히 우리가 정의당을 비판할 처지냐”고 했다. 실제로 최 수석대변인의 논평 외에 민주당 의원들은 침묵했다. 지난해 계속됐던 민주당 소속 인사들의 성추문 사태를 의식했기 때문이다. 민주당 여성 의원들도 별도 입장을 내지 않았다.
여기에 민주당은 지난해 11월 문재인 대통령이 당 대표 시절 만들었던 ‘무공천 원칙’마저 뒤집었다.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 후보를 내기 위해 단체장의 귀책사유로 궐위가 될 경우 재보선에 후보를 내지 않는다고 명시한 당헌을 전 당원 투표를 거처 개정했다.
이런 민주당의 태도에 대해 국민의힘 최형두 원내대변인은 “‘충격을 넘어 경악을 금치 못한다’는 민주당은 사과 태도에 관한 한 정의당의 10분의 1이라도 따라가기 바란다”고 성토했다. 또 야당에서는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한 여성 후보들이 “진보의 이중성과 민낯을 더 이상 두고만 볼 수 없다”며 앞다퉈 비판 성명을 냈다.
국민의힘 나경원 전 의원은 25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박 전 시장 성추행에 이어 이번에는 정의당 대표라니 참담하다”며 “피해자가 받았을 상처가 걱정됨과 동시에 국민들께서도 얼마나 실망이 컸을까 우려된다. 다시 한 번 이번 서울시장 선거의 중요성과 함의를 생각하게 된다”고 밝혔다. 조은희 서초구청장도 페이스북에 “박원순-오거돈-안희정-김종철-녹색당 사례 등으로부터 이어진, 좌파 지자체, 정당 등 정치권내 위계 질서에 의한 성범죄를 근본적으로 근절하는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전주영기자 aimhigh@donga.com
박민우기자 minwo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