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인민들은 살아남기 위해 전략적 ‘거짓 이력서’를 썼다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6월 19일 19시 45분


코멘트

◇고백하는 사람들 / 김재웅 지음 / 472쪽·2만5000원·푸른역사

“… 본 학생은 북조선로동당 당원으로 있으나 별로 사업하는 것은 없다. 그러나 가장 열성적인 학생이다. 학업에 있어서 앞으로 이 학생은 일층 더 공부에 노력하면은(※맞춤법은 원본대로) 진정한 인민교원으로서 손색없는 일꾼이 된다는 것을 평정한다.”

빈농 출신으로 1949년 평양교원대학에 재학 중인 29세 김삼돌에 대한 학과장의 평정서(評定書) 일부다. 광복 이후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선 북한은 대중에게 개인 기록물을 작성하도록 했다. 평정서는 개인이 직접 작성한 이력서, 자서전과 한 세트를 이뤘다. 주로 상급자가 작성하는 평정서는 이력서와 자서전의 오류를 바로잡을 뿐 아니라 개인의 품성에 대한 평가와 향후 사회주의 역군으로서의 가능성까지 담았다.

이 책은 1945~1950년 총 879명이 작성한 이력서와 자서전, 평정서를 기초자료로 삼았다. 대학교수와 중학 교사, 대학생, 통신사 직원 등 지식층에 속하는 이들의 기록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평양공업대학 교수 이력서는 인적 사항뿐 아니라 부모의 직업과 재산, 토지개혁 때 몰수되거나 분배받은 토지 평수, 출신성분과 사회성분, 외국여행 경력, 8세 이후 경력 등 무려 42개 항목을 기록하도록 돼있다. 이력서가 단답식인 반면 자서전은 그들의 활동 경력과 가족 배경 등을 미시적 수준까지 해부할 수 있는 ‘인생 고백’이었다. 6·25전쟁 중 미군이 노획해 미 국립문서기록관리청에 소장돼 있던 이 자료들은 10여 년 전 빛을 보게 됐다고 한다.

통상 역사는 승자의 것이다. 훗날 사가(史家)들은 불가피하게 풍부하고 선명하게 남아 있는 권력자들의 말과 기록 같은 공식적인 자료에 의존하기 마련이다. 이런 상황을 감안할 때 이 책은 인민이라는 이름으로 뭉뚱그려져 있던 북한 사람들의 삶을 미시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책은 1부 전략적 글쓰기를 시작으로 해방의 소용돌이, 일제 잔재 청산, 토지개혁, 국가건설, 교육, 계급 등 11부로 구성됐다. 모자이크 조각처럼 흩어져 있는 개인의 기록에 생기를 불어넣고 하나의 주제로 관통시켰다. 20여 년간 북한사를 연구해온 저자의 내공과 노고가 돋보인다.

특히 전략적 글쓰기란 표현과 내용이 흥미롭다. 알려진 대로 사회주의 체제, 특히 북한에서 출신성분은 개인의 운명을 좌우하는 중요한 잣대였다. 저자의 분석에 따르면 각 개인은 불이익을 피하기 위해 사실을 빠뜨리거나 허위 기재, 변명성 글쓰기 등의 전략을 구사했다. 평양교원대학에 재학 중이던 학생은 기독교 신앙과의 단절을 강조했다. 예배당에 불이 나자 맨발로 뛰어나가느라 애지중지하던 새 운동화가 사라졌다며 “하나님이 보호해준다는 것은 기만적이라는 걸 깨달았다”고 했다. 한 학생은 이력서 출신성분에 아버지가 시청 토목과에 근무했다고 적었는데 거짓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형무소 간수장이었고 광복 직후 체포돼 감옥에서 숨졌다. 황해도 출신으로 청년훈련소에 들어간 16세 김종성은 보통 자서전 형식이 아니라 스케치를 곁들이며 자신의 삶을 기록했다.

오늘의 눈으로 이념과 체제의 대립이 극심했던 광복 직후의 시기를 저울질하는 것은 무의미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고백의 조각들은 북한이 건설하려던 사회의 모습을 증언한다.

정답은 정해져 있었다. 이념, 그리고 그 이념은 출신성분에 의해서 나온다는 것이다.

김갑식 문화전문기자 dunanworld@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