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다수의 종편 채널의 재정적 기반이 될 국내 방송광고 시장이 그만큼 확대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나온다. 또 신생매체인 종편 채널의 조기 정착을 위해서는 채널 배정 등에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종편 채널은 보도와 교양, 드라마, 영화, 오락 등 모든 장르의 프로그램을 케이블망을 통해 방송하게 된다. 기존 케이블 채널이 특정 전문분야 프로그램만을 편성할 수 있는 것과 달리 종편 채널은 장르의 구분 없이 다양한 콘텐츠를 시청자에게 선보일 수 있다.
지난해 6월 AGB닐슨미디어리서치가 케이블TV 가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106개 채널 중 지상파 채널의 시청점유율은 52%에 이른다. 지상파 계열 케이블 채널 14개까지 합치면 지상파의 점유율은 65.68%를 차지한다.
전문가들은 다양한 콘텐츠 제공 능력을 갖춘 종편이 등장하면 지상파 프로그램에 대한 의존을 낮추고 지상파에 집중된 여론 조성 기능을 분산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종편 채널의 성공 여부는 지상파와 차별화된 새로운 내용과 포맷의 프로그램을 선보일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종편 채널의 등장으로 국내 콘텐츠 산업은 한 단계 도약하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지만 일각에서는 다수의 종편 사업자 등장으로 국내 미디어 시장에 과열 경쟁 양상이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종편 도입 등을 통해 현재 8조1000억 원 규모인 방송광고 시장을 2015년 13조2000억 원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잡았지만 광고 시장 파이가 그만큼 커질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전문가들은 시장 환경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종편 선정사들이 시장에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박천일 숙명여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 “종편 채널의 시장 조기 정착을 위해서는 채널번호 지정 등에서 일정 수준의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미경 기자 mickey@donga.com
이수정 “십수 년 민주당 지원, ‘그대로 가야하나’ 혼란 빠져”
윤석열, 총장직 거는 건 與가 바라는일…檢, 중수청 앞 자멸할수도
진중권 “신현수도 친문이 잘라내는 것…文도 통제 못해”
홍준표 “아직도 문재인 세상…정신 못차리는 국민의힘”
“임기말 대통령 눈엔 뒤꽁무니만…관료들은 ‘몸 세탁’ 외국행”[최영해의 폴리코노미]
文 정부에서 사라진 김대중과 노무현의 유산[광화문에서/한상준]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