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은 스포츠 천국이었어요. 다양한 스포츠를 즐길 수 있었죠. 테니스와 탁구, 배드민턴, 자전거 타기, 스키, 피트니스, 걷기 등을 매일 했습니다. 운동을 안 하면 삶에 활력이 떨어졌어요.”
학창 시절부터 운동에 관심은 있었다. 시설 등 여건이 여의치 않았을 뿐이다. 그는 “중학교 때 큰형이 다니던 연세대를 찾았다가 외국인들이 정구 치는 것을 지켜봤다. 고입과 대입을 준비하느라 하진 못했지만 서울대 공대에 들어가 정구채 2개를 사서 친구들과 함께 쳤다. 정구장이 없어 운동장에서 선 긋고 치다 공을 주우러 멀리까지 쫓아다닌 기억이 아직 생생하다. 나중엔 테니스로 바꿨다”고 했다. 축구도 했고 등산도 즐겼다.
이랬던 김 회장이기에 미국에 건너가 자연스럽게 스포츠에 빠져 살게 됐다. 그는 노동처럼 하는 기계적 운동은 좋아하지 않는다. 운동하는 순간을 즐긴다. 겨울엔 스키와 크로스컨트리 스키, 컬링 등을 했고 그 외 계절엔 바람과 햇빛을 즐기는 하이킹과 자전거 타기, 골프, 테니스 등으로 건강을 다졌다. 나이 들면서는 부상 위험이 적은 스포츠로 방향을 바꿨다. 요즘은 겨울엔 크로스컨트리스키와 탁구, 여름엔 골프와 걷기를 주로 한다. 웨이트트레이닝은 평생 체력 단련의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엔지니어링 회사라고 기술과 전문성만 가지고 회사를 운영해도 된다고 생각하면 착각입니다. 결국 사업은 사람과 관계를 맺는 일입니다. 저는 다양한 사람들과 잘 지내는 법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그중 가장 좋아하는 게 함께 운동하는 것입니다. 탁구, 테니스, 골프, 함께 걷기 등…. 함께 땀 흘리고 식사하면서 맥주 한잔하면 친밀도가 더 높아집니다.”
국내 강연 주제도 인간관계를 잘하는 법이다. 꿈을 가지고 노력하되 사람과의 관계도 중요함을 강조한다. 그는 “하버드대가 행복에서 가장 중요한 게 돈도 권력도 아닌 좋은 인간관계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가족과 친구, 주변 사람들과 잘 지내야 행복하다는 것이다. 그 관계를 운동으로 맺으면 건강도 챙기고 친밀도도 높이고 일석이조 아닌가”라고 했다.
김 회장은 “내 건강도 중요하지만 주위 건강도 중요하다. 가족, 회사원이 다 건강해야 가정도 회사도 행복하다. 우리 회사에선 컴퓨터 앞에 1시간 이상 앉아 있지 말도록 권유한다. 움직이며 산책하라고 한다. 집과 회사에 탁구장도 마련했다. 틈나는 대로 함께 탁구도 친다. 건강해야 일도 잘한다”고 말했다. 그는 “건강해야 100세 시대도 누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자신의 삶을 ‘사랑하는 후배들아 이제 너희들 차례다’라는 책으로 엮었다.
양종구 기자 yjong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