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법인세율 원상회복 검토”… 뜸 들이지 말고 당장 낮추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8일 중소기업인과의 간담회에서 “선진국과 비교해 우리나라 법인 세율이나 체계를 개선,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 당시 법인세 최고세율을 22%에서 25%로 올리고 과세구간을 3단계에서 4단계로 늘린 결과 기업의 부담이 대폭 커진 점을 지적한 것이다. 최근 5년 동안 세계 각국은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감세 경쟁에 나섰지만 한국은 대기업 증세를 하며 역주행했다. 이 여파로 한국의 법인세 최고세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보다 3.5%포인트 높아졌다. 일본 대만 싱가포르 등 한국이 직접 상대하는 아시아 주요국보다 세율이 높아 기업 경쟁력이 떨어진 상태다. 단일세율 체계인 대다수 선진국과 달리 한국은 과표구간을 4단계로 나눠 대기업에 유독 높은 세 부담을 지우고 있다. 그 결과 삼성전자의 법인세 부담 수준은 미국 인텔의 3배, 애플의 2배에 이르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무한경쟁을 하는 자국 기업의 발목에 정부 스스로 모래주머니를 채운
오늘의 칼럼
- 임희윤 기자의 죽기전 멜로디
- 오늘과 내일민주당의 ‘KBS·MBC 영구장악법’ 꼼수이진영 논설위원
- 횡설수설마리우폴 함락송평인 논설위원
- 글로벌 현장을 가다日, 오키나와에 中대항 전력 증강… “더는 희생 안 돼” 주민 반발이상훈 도쿄 특파원
- 김창일의 갯마을 탐구수산물 맛은 유통에서부터김창일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 고양이 눈나뭇잎 벤치신원건 기자
- 이은화의 미술시간권력의 무게이은화 미술평론가
- 광화문에서약보다 MRI 원했던 北, 코로나 지원 차분히 접근해야유근형 정책사회부 기자
- 김도연 칼럼새 정부의 국익, 실용, 공정 그리고 상식김도연 객원논설위원·서울대 명예교수
논설위원
동아일보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과 관련한 독자 투고를 받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의견을 이름, 소속, 주소, 연락처와 함께 e메일(opinion@donga.com)이나 팩스(02-2020-1299)로 보내주십시오.
원고가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