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트럼프 관세 카운트다운, 증시 ‘검은금요일’ 쇼크
2025.03.01
아침 7시 반,
동아일보 부국장이 독자 여러분께 오늘의 가장 중요한 뉴스를 선별해 전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동아일보 편집국 박용 부국장입니다.
 
3월 통상전쟁 전운에 아시아 증시가 줄줄이 급락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 캐나다 멕시코에 이어 중국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며 통상전쟁 양상 전운이 짙어지고 인공지능(AI) 반도체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면서 아시아 증시가 일제히 급락했습니다.

28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3.39% 떨어지며 2600 선이 무너진 2532.78에 마감했습니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으로 2600 선 밑으로 떨어진 것은 10거래일 만입니다. 이날 하락률은 지난해 8월 5일(-8.77%) ‘블랙먼데이’ 이후 최대치입니다.

코스닥 지수도 전장보다 3.49% 하락한 743.96에 마감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코스피와 코스닥을 합쳐 1조8468억 원, 7416억 원씩 팔았습니다. 안전자산인 달러가 강세를 보이며 원-달러 환율도 20.4원 폭등한 1463.4원으로 뛰어올랐습니다.

한국뿐 아니라 일본, 중국, 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들도 줄줄이 ‘검은 금요일’을 보냈습니다. 일본 닛케이225 지수(―2.88%), 중국 상하이종합지수(―1.98%), 홍콩 항셍지수(―3.28%) 등이 모두 하락했습니다. 앞서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도 모두 내려갔습니다.

밤새 트럼프 미 대통령이 “마약 유입이 계속되고 있다”며 중국 최대 연례 정치 행사 양회(兩會)가 시작되는 4일에 지난달부터 시작한 10% 관세에 또 10%를 얹겠다고 밝히고 캐나다와 멕시코에 유예했던 25%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투자 심리가 얼어붙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40여 일 동안 숨 쉴 틈 없이 관세 예고가 이어져 이미 미 증시는 피로감에 휘청이던 상태였습니다. 여기에다 미국 실물경제 약화 징후, 엔비디아를 위시한 인공지능(AI) 성장에 대한 우려가 더해져 글로벌 증시 투매 현상이 벌어진 겁니다.

중국은 미국에 반격을 예고했습니다. 28일 중국 상무부는 “미국이 끝까지 (관세를) 밀어붙인다면 필요한 모든 반격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 외교부도 트럼프 대통령이 마약을 문제 삼은 것에 대해 “펜타닐은 미국의 문제지만 중국은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미국을 지원해 왔다”며 “은혜를 원수로 갚는 행위(恩將仇報)”라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중국의 최고 정책자문 기구인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와 정기 국회 격인 정기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등 양회가 각각 4, 5일 열립니다. 시장은 5% 성장률을 사수해야 하는 중국이 미국에 대한 보복 조치나 자국 산업 보호 정책을 발표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증시가 폭락하기 직전 미국 증시도 크게 떨어졌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효과’가 오히려 악영향인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나라 산업장관이 처음으로 미국과 대화를 하기 시작한 것이 그나마 다행스럽습니다. 그간 제대로 대응하지 못 했던 ‘트럼프 2기 정부’를 지금부터라도 제대로 대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3·1절을 맞아 여야와 지지자들이 모두 거리로 나옵니다.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주장하는 것은 자유민주주의국가의 권리입니다. 다만, 상대의 주장이 틀렸다고 생각해 충돌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두고 야당이 ‘임명은 하되, 선고는 지금 인원으로’라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본인들도 당혹스러운 모양입니다.
2036년 올림픽 개최를 신청할 한국의 최종 후보지로 전북이 선정됐습니다. 다만 본선에서도 쉽지 않은 경쟁이 예상됩니다.
오직 동아일보에서만 볼 수 있는 새로운 시선, 끈질긴 취재의 결과물을 선보입니다.
출퇴근길에도 주식 매매… 대체거래소에선 하루 12시간 거래 가능
《4일부터 하루 12시간 주식거래 한다4일 국내 첫 주식 대체거래소(ATS) 넥스트레이드가 출범한다. 70년 동안 이어진 한국거래소 독점 체제가 깨지고 본격적인 거래소 경쟁 시대가 시작되는 것이다.
동아일보 칼럼을 통해 본 오늘, 세상
[오늘과 내일/우경임]尹의 가장 큰 거짓말
윤석열 대통령은 거짓말을 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마지막 변론에서까지 “12·3 비상계엄 당일 투입한 군 병력은 570명에 불과하다”거나 “국회의 해제 요구 결의가 이루어지고 즉시 병력을 철수했다” “국회의원을 체포하거나 끌어내라고 하지 않았다” 등 현장의 증언으로 명백히 밝혀진 사실조차 부인했다.
매일 아침 일곱시 반
당신이 꼭 읽어야 할
동아일보 주요 뉴스를 전합니다.
지난 레터 보기 & 주변에 구독 추천하기

뉴스레터 구독 해지

뉴스레터 및 마케팅 정보 수신 동의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시기 위해 뉴스레터 및 마케팅 정보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