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통상전쟁 전운에 아시아 증시가 줄줄이 급락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 캐나다 멕시코에 이어 중국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며 통상전쟁 양상 전운이 짙어지고 인공지능(AI) 반도체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면서 아시아 증시가 일제히 급락했습니다.
28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3.39% 떨어지며 2600 선이 무너진 2532.78에 마감했습니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으로 2600 선 밑으로 떨어진 것은 10거래일 만입니다. 이날 하락률은 지난해 8월 5일(-8.77%) ‘블랙먼데이’ 이후 최대치입니다.
코스닥 지수도 전장보다 3.49% 하락한 743.96에 마감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코스피와 코스닥을 합쳐 1조8468억 원, 7416억 원씩 팔았습니다. 안전자산인 달러가 강세를 보이며 원-달러 환율도 20.4원 폭등한 1463.4원으로 뛰어올랐습니다.
한국뿐 아니라 일본, 중국, 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들도 줄줄이 ‘검은 금요일’을 보냈습니다. 일본 닛케이225 지수(―2.88%), 중국 상하이종합지수(―1.98%), 홍콩 항셍지수(―3.28%) 등이 모두 하락했습니다. 앞서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도 모두 내려갔습니다.
밤새 트럼프 미 대통령이 “마약 유입이 계속되고 있다”며 중국 최대 연례 정치 행사 양회(兩會)가 시작되는 4일에 지난달부터 시작한 10% 관세에 또 10%를 얹겠다고 밝히고 캐나다와 멕시코에 유예했던 25%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투자 심리가 얼어붙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40여 일 동안 숨 쉴 틈 없이 관세 예고가 이어져 이미 미 증시는 피로감에 휘청이던 상태였습니다. 여기에다 미국 실물경제 약화 징후, 엔비디아를 위시한 인공지능(AI) 성장에 대한 우려가 더해져 글로벌 증시 투매 현상이 벌어진 겁니다.
중국은 미국에 반격을 예고했습니다. 28일 중국 상무부는 “미국이 끝까지 (관세를) 밀어붙인다면 필요한 모든 반격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 외교부도 트럼프 대통령이 마약을 문제 삼은 것에 대해 “펜타닐은 미국의 문제지만 중국은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미국을 지원해 왔다”며 “은혜를 원수로 갚는 행위(恩將仇報)”라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중국의 최고 정책자문 기구인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와 정기 국회 격인 정기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등 양회가 각각 4, 5일 열립니다. 시장은 5% 성장률을 사수해야 하는 중국이 미국에 대한 보복 조치나 자국 산업 보호 정책을 발표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