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침 7시 반, 동아일보 부국장이 독자 여러분께 오늘의 가장 중요한 뉴스를 선별해 전해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동아일보 편집국 박용 부국장입니다. |
|
|
오늘은 채용 비리가 드러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가 대국민 사과와 함께 ‘조직 정화를 위한 특별위원회(가칭)’ 설치를 검토한다는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직원 자녀 특혜 채용 등 대규모 채용 비리에도 헌법재판소가 “선관위는 감사원의 감사 대상이 아니다”라고 선고하면서 국회가 특별감사관 설치 등을 추진하자 자체 쇄신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겁니다. 하지만 ‘셀프 개혁’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옵니다.
선관위 고위 관계자는 3일 동아일보와 통화에서 “감사원 감사 결과를 통해 선관위 조직 운영과 인사에서 여러 가지 난맥상이 드러났다”며 “외부 인사가 대대적으로 참여하는 객관적인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조직 정화 작업을 하겠다는 메시지를 분명하게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대국민 사과도 검토 중”이라고 했습니다. 선관위에 따르면 노태악 선관위원장이 직접 선관위 개혁 방안 마련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앞서 선관위는 2023년 고위직 자녀 특혜 채용 논란이 불거지자 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한 감사위원회 등을 설치하겠다는 자체 혁신안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선관위의 자체 개혁안 발표는 국회에서 선관위 감시·견제 기구 설치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겁니다.
서울서부지법 난입 사태 이후 법원이 안전 및 법원 방호 강화 관련 예산을 6억 5000만 원 이상 신청했다는 소식도 있습니다. 대부분이 펜스, 출입구 안전장치, 강화필름 등 안전 시설물 설치 예산이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다가오면서 사법부를 향한 위협이 고조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사법부를 공격하는 범죄에 대한 엄벌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
|
|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특별위원회 설치 등 쇄신 방안을 검토하고 나섰습니다. 하지만 전례를 봤을 때 ‘셀프 쇄신’이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들이 많습니다. |
|
|
서울서부지법 난입 사태 이후 법원이 법원행정처에 추가 안전 예산 6억5000만 원 이상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
|
헌법재판소가 이달 17일까지 공식 재판 일정을 잡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법조계에선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의 유력한 선고 날짜로 금요일인 7일과 14일이 거론됩니다. |
|
|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이 ‘노딜’로 끝난 뒤 블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미국에 대해 화해 제스처를 취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2기 관료들은 젤렌스키 대통령의 사퇴까지 언급하고 나섰습니다. |
|
|
유럽 정상들은 일제히 영국에 모여 대책회의에 들어갔습니다. 방위비 증액 등 안보 자강 대책을 내놓았지만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
|
|
오직 동아일보에서만 볼 수 있는 새로운 시선, 끈질긴 취재의 결과물을 선보입니다. |
|
|
[단독]응급 최후의 보루 ‘권역외상센터’ 절반, 전문의 10명도 안돼 |
|
|
교통사고, 추락 등에 의한 다발성 골절이나 출혈 등으로 생명이 위독한 중증외상 환자를 치료할 ‘최종 의료기관’인 전국의 권역외상센터 17곳 중 9곳(53%)은 전문의 수가 10명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북 원광대병원, 전남 목포한국병원, 경남 경상국립대병원 권역외상센터 내 전문의 수는 5명 이하로, 지방으로 갈수록 외상센터 인프라가 더욱 열악했다. |
|
|
한국에서 텔레그램 탈퇴 운동이 대대적으로 벌어진 건 5년 전이다. 텔레그램 본사가 ‘n번방’ 수사에 협조하지 않자 국내 가입자들이 정해진 시각에 한꺼번에 탈퇴하며 압박에 나선 것이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