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尹외압 의혹 ‘채상병 사건’ 박정훈 대령 무죄
2025.01.10
아침 7시 반,
동아일보 부국장이 독자 여러분께 오늘의 가장 중요한 뉴스를 선별해 전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동아일보 편집국 이정은 부국장입니다.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의 경찰 이첩을 보류하라는 명령을 따르지 않은 혐의 등으로 기소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1심에서 전부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대통령 외압 의혹 등으로 윤석열 정부 추락의 시발점이 됐다는 평가를 받아온 이 사건 당사자에게 무죄가 선고된 겁니다.

‘채 상병 순직 사건’은 2023년 7월 경북 예천군의 집중호우 현장에서 실종자를 수색하던 해병대원이 급류에 휩쓸려 사망한 사건입니다. 장병이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 없이 구조 현장에 투입된 경위 등을 수사하던 박 대령은 당시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으로부터 조사 기록의 경찰 이첩을 보류·중단하라는 명령을 받고도 이를 따르지 않은 혐의 등으로 기소됐습니다. 당시 이른바 ‘VIP 격노설’ 등 대통령실 외압 의혹과 김 전 사령관에 대한 ‘구명 로비’ 의혹 등이 불거지면서 사건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죠.

이 사건의 재판을 맡은 군사법원은 박 대령이 항명했다는 김 전 사령관의 지시에 대해 “정당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군사법원에 재판권이 없는 채 상병 순직 사건은 민간 수사기관으로 조사 기록을 이첩해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이를 중단하라는 지시 자체가 위법하다는 지적입니다. 또 김 전 사령관이 이첩 보류 지시를 명확하게 했다기보다 “그 방법과 시기에 대해 회의와 토의를 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구체적인 명령이 있었다는 군검찰의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박 대령은 무죄를 선고받은 직후 취재진 앞에서 “결코 흔들리거나 좌절하거나 뒤돌아보지 않고 앞만 보며 수근이(채 상병)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야당은 채 상병 사건과 관련된 외압의 몸통을 밝히겠다고 벼르고 있습니다. 야당이 단독으로 세 차례 통과시켰던 채 상병 특검법은 윤 대통령이 모두 거부권을 행사해 시행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국민의힘은 지난해 12월 초 채 상병 국정조사를 수용하겠다고 했지만 비상계엄 사태 이후 논의가 중단된 상태입니다.
위법적인 명령이라면, 군인이라 해도 따를 의무가 없다. 박정훈 대령의 무죄 판결은 군사법원이 이런 사실을 명확히 한 판결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 사건과 관련해, 공수처는 尹대통령이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수사중입니다. 수사에도 속도와 활기가 붙을 걸로 보입니다.
2차 체포영장 집행의 초시계가 돌아가는 가운데, 尹대통령은 ‘평화적 계엄’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헌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미국에서는 ‘트럼프 취임’이 차근차근 준비되고 있습니다. 전세계 지각변동이 불보듯 한데, 우리는 여전히 멈춰있습니다.
심지어 북한도, ‘트럼프 2기’를 앞두고 대책을 모의하고 있습니다.
오직 동아일보에서만 볼 수 있는 새로운 시선, 끈질긴 취재의 결과물을 선보입니다.
부활한 러스트벨트에 韓미래차 연구소… 반도체도 한미 시너지
“북미 시장은 경쟁이 심하고 기술 변화도 빨라 차별화된 기술과 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의 중요성이 계속 커지고 있습니다. ”(박인욱 현대모비스 북미연구소장) 지난해 12월 16일 미국 미시간주 플리머스의 현대모비스 북미연구소를 찾았다.
동아일보 칼럼을 통해 본 오늘, 세상
[오늘과 내일/윤완준]신문 보지 말고 극우 유튜브 보라 한 尹
지난해 총선이 보름도 안 남은 3월 말. 윤석열 대통령은 여권의 한 인사에게 텔레그램을 보냈다.
매일 아침 일곱시 반
당신이 꼭 읽어야 할
동아일보 주요 뉴스를 전합니다.
지난 레터 보기 & 주변에 구독 추천하기

뉴스레터 구독 해지

뉴스레터 및 마케팅 정보 수신 동의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시기 위해 뉴스레터 및 마케팅 정보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