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간 프랜차이즈 기업들은 상권 조사와 분석에 많은 시간을 들여왔다. 스타벅스에 점포개발팀이 있듯 상권을 분석하는 전담 팀이 따로 꾸려질 정도다. 식품업계도 마찬가지다. 연령 성별 지역 등에 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지는 소비자의 입맛을 단 하루라도 먼저 짚어내기 위해 시장조사에 돈과 인력을 쏟아붓는다.
하지만 앞으론 얘기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토종 민간 데이터 거래소가 속속 등장하면서 국내 기업들에도 발품 팔지 않고 빅데이터 분석 보고서를 받아볼 수 있는 시대가 다가왔기 때문이다.
○ 당신이 무엇을 살지 나는 알고 있다
KT는 7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빅데이터 플랫폼 센터 구축 사업’ 10개 사업자 중 한 곳으로 선정됐다. 이후 자체 통신 관련 데이터와 BC카드, 소상공인연합회, 고려대 등 학계, 데이터분석 스타트업 등 총 16개 기관이 제공한 데이터를 확보했다. 카드 결제 명세와 제주도 관광 행태, 영양 섭취 행태, 부동산 및 상권 정보, 배달음식 이동 경로 등 다양한 생활 데이터가 모였다.

이미 국내 대기업 중에는 자체 빅데이터 분석 팀을 운영하거나 마이크로소프트, SAP 등 글로벌 분석 기업에 외주를 주고 있는 사례도 많다. 하지만 규모가 작은 기업들로서는 필요하기는 해도 직접 빅데이터를 구축하기란 언감생심이다. KT 관계자는 “자체 수요 조사를 한 결과 소기업뿐만 아니라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기업까지 많은 잠재 수요를 확인했다”며 “1차적으로 160여 개 기업이 고객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KT는 이 시장에서 내년 30억 원 매출을 목표로 잡고 있다. 윤혜정 KT 빅데이터 사업지원단 전무는 “데이터가 폭증하는 5세대(5G) 시대에 발맞춰 통신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가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라며 “플랫폼 활성화를 위해 인공지능(AI)이 결합한 분석 서비스 등 특화 기능도 내놓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 美·中 먼저 뛰는데… 가명 정보 빨리 풀어줘야

중국은 2016년 4월 정부와 차이나텔레콤, 유니콤이 출자해 2억 위안(약 300억 원)의 자본금으로 상하이데이터거래소를 세웠다. 현재 중국 내 최대 규모의 거래소로 중국 주요 기관과 기업들의 방대한 데이터를 축적해 놓고 있고 텐센트와 중국건설은행, 중국둥팡항공 등 각 분야의 굵직한 기업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미국과 중국이 먼저 뛰는 동안 한국은 아직 ‘가명 정보’의 부재에 발목이 잡혀 있는 상황이다. 현행 데이터3법에선 가명 처리된 개인별 정보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국내 데이터 거래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는 ‘20대 여성’이나 ‘○○동 거주자’ 등 일정 단위로만 구성돼 면밀한 분석에 한계가 있다. 김혜주 빅데이터사업지원단 상무는 “국내에서도 가명 정보 활용에 대한 기준이 명확해진다면 이러한 데이터 거래소의 활용도와 데이터 간 시너지도 훨씬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곽도영 기자 now@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
[이기홍 칼럼]집수리 맡겼더니 기둥 다 부수려 드나
[김순덕의 도발]조율 없는 신년회견이 무슨 자랑이냐
조은산 “文 40%지지율이 성공한 대통령?…트럼프도 41%”
[e글e글]“유시민, 세상 뒤집어 놓고 사과로 퉁?” 비판 쏟아져
文대통령 지지율, 또 최저치 37%…등 돌린 20대 표심
한동훈 “유시민 1년간 거짓 선동 계속…필요한 조치 검토”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