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민의 그때 그곳]<6>가람 이병기가 말년 보낸 ‘현대 시조문학의 성소’ 익산 생가

  • Array
  • 입력 2013년 1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술복 - 글복 - 제자복 三福을 노래한 ‘마지막 선비’의 향취 고스란히

전북 익산시 여산면에 있는 가람 이병기 생가를 찾은 권영민 교수와 양점숙 시조시인. 양 시인은 이 지역에서 해마다 열리는 가람시조문학제를 이끌고 있다. 이들은 가람의 유지를 받드는 방안에 대해 다양한 얘기를 나눴다. 익산=황인찬 기자 hic@donga.com
전북 익산시 여산면에 있는 가람 이병기 생가를 찾은 권영민 교수와 양점숙 시조시인. 양 시인은 이 지역에서 해마다 열리는 가람시조문학제를 이끌고 있다. 이들은 가람의 유지를 받드는 방안에 대해 다양한 얘기를 나눴다. 익산=황인찬 기자 hic@donga.com
《 시조시인이자 국문학자인 가람 이병기(1891∼1968)의 생가는 전북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 573번지에 남아있다. 한국 근대문인의 생가 가운데 그 단아한 초가집의 원형이 유일하게 그대로 보존돼있다. 가람은 이 집에서 태어나 소년 시절을 보냈고, 노후에 이곳을 찾아 자족하며 시조를 짓고 화초와 벗 삼았다. 그리고 세상을 떠난 후 바로 이 집이 내려다보이는 뒷산 언덕에 묻혔다. 이곳에 가람의 삶이 그대로 담겼고, 그 문학의 향취가 살아있는 것이다. 》

날이 풀려 고드름이 똑똑 물방울을 떨어뜨리던 14일 오후 이곳을 찾았다. 학생들과 답사차 몇 번 왔는데 헤아려 보니 벌써 10여 년 만이다. 가람 생가 입구에 서니 가장 먼저 반기는 자그마한 모정(茅亭)인 승운정(勝雲亭)이 정겹다. 그 옆으로 담도 대문도 시작되기 전에 사랑채부터 일자형으로 길게 자리 잡고 있다. 그 곁에 파놓은 작은 연못은 눈에 덮여 형체를 알아볼 수 없다.

사랑채의 툇마루 앞을 지나노라면 지금도 누군가 문을 열고 헛기침을 하면서 마루로 나올 것 같다. 진수당(鎭壽堂)이란 편액을 걸어놓은 사랑채의 끝방은 가람이 책방으로 사용했단다. 평소 기거했던 곳은 한 칸 건너 수우재(守愚齋)라는 편액이 붙은 작은 방이다. 수우재와 진수당 사이는 칸 전체를 다락으로 만들었고, 툇마루에 서면 건너편 들판이 한눈에 들어온다. 앞이 탁 트여 시원하다.

사랑채를 둘러본 뒤 대문간을 들어서면 좁은 안마당을 사이에 두고 안채와 마주하게 된다. 자연석으로 쌓은 축대 위에 높다랗게 지은 안채는 대청마루를 사이에 두고 안방과 건넌방이 있고 부엌이 다락처럼 돌출해 있는데, 비어 있는 안마당이 그저 아늑하다. 이 집은 가람의 조부 시절에 지었다고 전해지니 그 나이가 이백 살에 가까운 셈이다. 안채와 사랑채가 서로 어울려 집 전체가 아늑하고 너무도 소박하다.

가람은 이 집에서 소년 시절을 보내며 한문 공부에 매달렸다. 그러나 신학문에 관심을 갖게 되자 나이 스물에 전주고보를 졸업하고 서울로 올라가 한성사범학교에서 수학했다. 이때 그가 만난 이가 한글학자 주시경이다. 그는 주시경 선생이 운영하는 조선어강습원에서 우리말 문법을 처음 배웠다. 학교를 졸업한 후 7, 8년간 전주 등지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때부터 민간에 흩어져 있는 우리 고문헌을 수집 정리하고 우리말과 우리 문학에 대한 연구에 전념했다. 가람이 생전에 수집한 문헌들은 우리나라에서도 손꼽히는 방대한 장서를 이루었는데, 말년에 서울대에 기증해 서울대 중앙도서관에 ‘가람문고’로 보존돼 있다.

가람은 1920년대 중반부터 시조 창작을 통해 널리 대중적인 호응을 얻었다. 그는 최남선의 시조부흥운동에 적극 동참하면서 시조의 원류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물론이고 현대시조 창작에 관한 실제적인 방법을 다양하게 제시했다. 그는 최초의 시조 연구 창작 모임인 ‘시조회’를 결성해 시조에 관심을 갖는 시인들을 모았다. 그가 발굴한 시조시인 조남령 김상옥 이호우 등은 모두 가람시조의 정신을 계승하면서 현대시조의 거장이 됐다. 가람이 발간한 ‘가람시조집’(1939년)은 현대시조의 전범(典範)이다.

가람은 현대시조의 시적 형식에 감각성이라는 고도의 미의식을 부여했다. 가람시조는 전아한 기품을 자랑하고 있지만 사실은 단조로움에 빠져들기 쉬운 시적 진술에 특유의 감각성을 부여하고 있는 게 두드러진 특징이다. 가람은 시조의 격조를 현대적으로 살려내기 위해 우리말의 음절량과 그 이음새에서 나타나는 말의 마디를 자연스럽게 변형시키면서 율격을 지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시조의 시적 형식이 어떤 틀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인에 의해 그렇게 형성되는 것임을 말해준다. 그러므로 ‘난초’ 같은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절제된 감정과 언어의 감각을 가람시조의 미학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당연하다.

‘한손에 책을 들고 조오다 선뜻 깨니/드는 볕 비껴 가고 서늘바람 일어 오고/난초는 두어 봉오리 바야흐로 벌어라’(시조 ‘난초 1’ 전문)

가람은 초창기 국문학자로서 연구 활동에도 진력했다. 그는 1921년 권덕규 임경재 등과 함께 조선어문연구회를 조직해 우리말과 글의 연구 보급에 앞장섰다. 1930년 조선어철자법 제정위원으로 일하면서 우리말 맞춤법 통일안의 제정에 깊이 간여했다.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돼 옥고를 치렀다.

1959년 예순여덟의 가람. 동아일보DB
1959년 예순여덟의 가람. 동아일보DB
가람은 한국 고문헌의 고증과 주석 작업에도 힘쓰면서 ‘한중록’ ‘인현왕후전’ ‘요로원야화기’ 등을 발굴 소개했고, ‘춘향가’를 비롯한 신재효의 판소리를 발굴 소개하여 구비문학 연구의 기반을 만들었다. 광복이 되자 가람은 서울대 교수가 돼 한국문학의 근대적인 교육 연구 체제를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6·25전쟁 직후 서울대 강단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가 전북대에서 강의하다 1956년 퇴임했다.

가람은 강단에서 물러난 후 고향인 여산에 돌아와 자연을 벗 삼고 시조를 노래하며 풍류를 즐겼다. 그는 스스로 ‘술 복’과 ‘글 복’ ‘제자 복’을 타고난 ‘삼복지인(三福之人)’이라 자처하며 술을 즐기고 시를 사랑하고 제자를 아꼈다. 가람의 집에는 가람을 존경하고, 가람의 시조를 사랑하며, 그 풍모를 따르려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았다. 우리 현대시조의 문학적 성소(聖所)가 바로 이곳이다.

집은 그곳에 사는 사람에 따라 그 성격과 의미가 정해진다는 말이 있다. 가람의 생가를 둘러보면 이 말이 더욱 실감난다. 이 작은 초가집이 더 특별하게 다가온다. 요즘은 세상이 변해 버젓이 살아있는 사람의 기념관이나 문학관이 들어서기도 한다. 생가는 보존됐지만 가람의 문학을 돌아볼 수 있는 학술적 공간이 없어 아쉽다. ‘가람시조문학관’ 같은 것이 왜 아직도 서지 못했는지 궁금하다. 가람이 평생을 두고 썼던 일기는 한국 근대문학 최대의 보물이다. 이 장대한 기록문학을 제대로 보관할 수 있는 기념관이 어서 들어서길 기대한다.

정리=황인찬 기자 hic@donga.com
#가람 이병기#익산 생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