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2/이 사람이 사는법]고대사 연구하는 박용숙 씨 “한국 고대사 정점에 있는 샤먼제국, 입증해 보이겠습니다”

  • Array
  • 입력 2012년 7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고대사 연구하는 박용숙 씨의 ‘마이 웨이’ 40년

김미옥 기자 salt@donga.com
김미옥 기자 salt@donga.com
이건 좀 심하다 싶었다. 중국의 진시황제가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과 동일 인물이라…. 두 인물이 활약했던 시대는 약 100년의 차이가 있다. 진시황제는 기원전 259년 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알렉산더 대왕은 기원전 356년에 출생한 것으로 돼 있다. 당대 ‘세계를 통일했다’는 두 사람의 출생, 업적과 행악(行惡), 사망에 이르는 과정에 유사점이 적지 않다는 이야기가 나온 적은 있지만 학계의 소산은 아니었다.

이런 주장을 ‘샤먼제국’(소동·2010)이라는 두꺼운 책은 정색을 하고 소개했다. 여기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다. 이 책은 우리나라 고대사의 시원을 지중해에서부터 풀어놓고 있다. 주류 고대사학계에서 보면 황당하기가 이만저만한 책이 아닐 수 없다. 저자는 1970, 1980년대 소설가와 미술평론가로 활발하게 활동했던 박용숙 씨(77·사진)다.

○ 문제는 샤머니즘

그는 창작과 비평사가 2005년부터 펴낸 ‘20세기 한국소설’ 전집(50권)에 실린 ‘목수 아바이’라는 단편소설을 쓴 작가다. 196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부문에 당선됐고 나중에는 홍익대, 동덕여대에서 미술사를 가르쳤다. 당시 30대 중반이던 그의 머릿속은 불교 유교 이전에 우리나라 사람들의 정신세계를 사로잡았던 것이 무엇이었을까 하는 생각으로 가득했다.

“불교가 들어오기 전에 신라(우리나라) 사람들은 무엇을 생각하고 어떤 가치관에 따라 행동했는지, 그들의 세계관이 무엇인지 그걸 알고 싶었지요.”

그의 생각은 샤머니즘(무속)에 가 닿았다. 신라시대 최치원이 말했던 풍류(風流)나 신선도와 맞닿아 있는 것도 결국 여기가 아니겠는가 하는 생각이었다. 강릉 단오제를 비롯해 전국의 무당들이 큰 굿판을 벌이는 곳이면 빼놓지 않고 다니려 애썼다. 미르체아 엘리아데 같은 외국 학자들의 샤머니즘 연구서적을 꼼꼼하게 읽었다. 그렇게 10년을 한 끝에 샤머니즘이란 결국 한 무당의 개인적 행위가 아니라 탄탄한 체계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른바 학계에서 고등종교라 일컫는 불교 기독교 이슬람교 유교 이전의 세계는 결국 샤머니즘이라고 말할 수 있는 세계가 아니었을까 하는 데까지 생각이 미친 것은 좀 더 이후의 일이었다.

자신의 미술평론 작업에도 샤머니즘적 요소를 집어넣었다. “미술비평을 하다보니 재미가 없더라고요. 전부 서양의 것을 복사해서 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생각도 들고. 그래서 우리 시각으로 봐야 하지 않겠느냐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후 그는 자칭 ‘미술계의 왕따’가 돼 버렸다. 당시 한국 미술계는 서구 모더니즘의 자장(磁場) 안에 있었다. 해프닝과 퍼포먼스 미술이 여기저기서 시도됐다. 그런데 그는 샤머니즘과 노장사상으로 이를 풀이하려고 하니 시대에 뒤진 평론가로 보였다. 하지만 해프닝이라는 게 무엇인가. 결국 기존의 이성과 제도에 얽매이지 않는 무위(無爲)의 한 표현이 아니었던가. 자신들의 작품 카달로그에 해설해 달라는 신진 예술가들의 주문도 거의 들어오지 않았다. 그는 더욱 샤머니즘에 매진했고 그 관심은 우리나라 상고사에까지 나아갔다.

○ 정신적 담론을 찾아서

이른바 단군조선의 기원과 강역(疆域)이 기존 주류 학계의 정설을 훨씬 뛰어넘는다고 주장하는 일군의 재야 사학자들이 있다. 그러나 그의 책 ‘샤먼제국’은 이들 재야 사학자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감당하기가 쉽지 않은 주장들로 가득하다.

삼한(三韓)이 한반도 남부에 있던 변한 진한 마한의 3국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고대 세계의 교황청과 같은 위세를 누렸던 ‘쌈지조선’의 3가지 기능을 말한다는 것. 그리고 당시 전 세계는 쌈지조선의 지위를 놓고 벌이는 쟁패의 연속이었다는 것. 그 쌈지조선이 바로 샤머니즘이라는 거대한 종교체계의 수장이었다는 것 등등 기존 상식과 지식을 비웃듯 펼쳐진다.

주류 학계가 허황되다고 비판하는 재야 사학계의 상고사 연구에 단지 숟가락 하나 더 얹으려고 그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100번 넘게 읽은 것은 아니다. 고조선의 영토를 만주에서 조금 더 넓혀 보려고 중국 사서와 일본의 고대사 연구서적을 훑다시피 읽어낸 것은 아니다. 그는 우리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정체를 구성하는 정신은 무엇인지를 알아내고 싶었다. 중국은 중화사상이라는 게 있고, 일본은 신토(神道)사상이라는 것이 자신들 역사관의 뼈대를 이루는데 우리에게는 그런 뭔가가 없다는 것이다.

“우리 몫, 우리 역사라는 것의 정체가 뭐냐는 거지요. 뭔가 정신이 (그 안에) 있어야 할 텐데 없다는 겁니다. 기존 역사학계는 논쟁만 있지 그런 정신에 대한 담론은 없다는 게 안타깝다는 것이죠.”

그는 자신이 ‘샤먼제국’에서 전개한 ‘샤머니즘 제국으로서의 민족사’라는 논지가 우리 역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역사에 대한 실증적 자료와 객관적 증거를 토대로 하는 실증주의 주류사학에서 보면 코웃음을 칠지 모를 작업이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연구가 우리 고대사 해석에 대한 하나의 모델로서 받아들여지기를 바란다. 다른 모델들도 어서 나와서 논쟁과 공박만이 아닌, 고대사에 대한 새 문명론이 갖춰지는 발판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물론 그의 연구가 실증적으로 입증될 가능성은 지금으로서는 희박해 보인다. 그러나 팔순을 눈앞에 둔 그는 대입수학능력시험을 치르는 학생처럼 책과 자료와 씨름하고 있다. 그런 노력을 누가 폄훼할 수 있겠는가.

민동용 기자 mindy@donga.com
#박용숙#고대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