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동네]이청준이 흠모한 야윈젖가슴

  • 입력 2001년 11월 21일 11시 13분


"메모-삶과 문학의 이삭줍기. 흘려 버려진 것들이었으므로 내게는 더욱 소중했으리."

소설가 이청준씨(62)는 7년만에 낸 산문집 < 야윈 젖가슴 >(마음산책)을 발표했다. 작가 스스로는 이 책을 '이삭줍기'라 낮추어 부른다.

그 '이삭'이란 초등학교때 '설까질 것'을 걱정한 가족 눈치를 보며 읽었던 연애소설 < 순애보 >(박계주)이거나, 추운 겨울날에도 찬 우물물에 세면하고 의곤을 반듯이 하고 글을 읽던 동네 한문서당 훈장어른의 고지식함 등속 같은 것들이다.

하찮아 보이는 그 이삭은 작가의 비옥한 경험 위에 싹을 틔워 든든한 성찰의 나무로 자란다. 성장의 과정을 느릿느릿한 폼새로 보여주는 산문은 넓고 깊은 울림을 남긴다.

고향 마을 '섭섭이 할머니'에게 빌린 '야윈 젖가슴'을 보자. 백발의 작가는 흘려버렸던 빛바랜 추억에서 사금파리 같은 깨달음을 건진다. "모진 세월에 졸아붙은 젖가슴"이란 실은 "자식들에게 다 나눠주고도 차마 다 마르지 못한 당신의 사랑의 씨앗주머니"였음을.

평소에 책과 벗해온 독자라면 이씨 문체가 풍기는 문향(文香)에 매혹될 것이다. < 칼의 노래 >(김훈)에서 영상문화에 짓눌린 문자예술의 자구력이 될 고(古)문체의 고졸성을, < 한시미학산론:시담사화 >(정민)에서는 절제와 함축성의 덕목을 한문학의 귀감을 배운다. < 내 생애 단 한 번 >(장경희) 같은 에세이집에서도 "사랑 이야기는 그것을 말한 사람 자신이 지닌 만큼 밖에 말 할 수 없음"을 능히 깨닫는다.

문학권력에 대한 삭막한 언사가 난무하는 요즘, 다시 읽은 소설 < 광장 >(최인훈)에서 찾은 망명의 의미 역시 여러 생각거리를 남긴다.

"'문학은 현실 개선의 꿈'이란 말 속엔 그 전위적 진보성이 생명력으로 숨쉬고 있다. 그런데 어떤 정치가 어떤 문학을 보수나 수구로 매도한다면 그 정치의 자리는 어디이며, 그 문학은 어디에 자리해야 하는 것일까."(51쪽)

이씨는 젊을 때는 책으로 세상을 엿보다가, 중년에는 책으로 세상을 받아들이다가, 이제는 세상과 하나가 되는 경지에 이르렀음이다. 그가 인용한 옛글은 바로 자신의 이야기인지 모른다.

"젊은 시절의 독서는 문틈으로 달을 엿보는 것과 같고 / 중년의 독서는 뜰 가운데서 달을 바라보는 것과 같으며 / 노년의 독서는 가을 동산에서 달 구경하는 것과 같다"(‘유몽영(幽夢影)’중)

그 경지에 이르러 오래 숙성시킨 뒤 슬며시 꺼내놓은 잠언들은 성찰의 나무에 달린 단 열매와 같다.

"수평선 단상-넓어지려면 단순해질 일이다" 혹은 "추억-세월의 강심 아래로 가라앉은 회수 불능의 시간 보석" 같은 문장이 남기는 잔향이 그윽하게 가슴에 퍼진다.

그 발향지(發香地)는 바로 동네 아저씨 같은 폼새로 찍힌 작가 사진 옆에 붙힌 짧은 글이었으니.

"낚시터에서 모자가 바람에 날아가 / 물 가운데로 멀어져가는 것을 보면서 / 문득 내가 나를 버릴 수 있음을,/ 내가 아픔 없이 나를 작별할 수도 있음을 알았다."

‘신작소개’ 중 이청준 < 야윈 젖가슴 > 내용 보기 ☞

<윤정훈 기자>digan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