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정훈의 호모부커스]<95>도서관의 대중화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월 29일 03시 00분


코멘트
표정훈 출판평론가
표정훈 출판평론가
중국 한나라는 동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채택했다. 유교 경서를 비롯한 문헌을 편찬하고 보존하는 것은 중요한 국가사업이었다. 한나라 수도 장안의 미앙궁에 황실도서관으로 석거각(石渠閣), 천록각(天祿閣), 동관(東觀) 등을 뒀다. 특히 석거각에서는 유교 경서와 학설에 관한 강론과 토론회가 열리곤 했다. 조선의 왕립 학술기관이자 도서관인 집현전이나 규장각에 견줘 볼 수 있다.

고려의 성종(재위 981∼997년)은 유교 이념을 중심으로 국가 체계를 정비하면서 서경(평양)에 학교와 도서관을 겸한 수서원(修書院)을 세웠고, 개경(개성)에는 왕실도서관 역할을 하는 비서원(秘書院)을 두었다. 이 가운데 990년 설치한 수서원에서는 ‘모든 서생들로 하여금 사적(史籍)을 베껴 써서 간직할 수 있도록’ 했다. 요즘 식으로 말하면 도서 열람과 함께 복사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본에는 왕실도서관으로 궁내청 서릉부(書陵部)가 있다. ‘서릉’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도서 및 문서 자료와 함께 능묘도 관리하는 부서다. 서릉부에는 이토 히로부미가 1906∼1909년 규장각에서 빌려간 도서 77종 1028책이 소장돼 있었다. 빌렸다고는 하지만 사실상 빼앗은 것이었다. 1965년 한일협정으로 11종 90책이 반환됐고, 2011년 조선왕실의궤와 함께 나머지 66종 938책이 반환됐다.

오늘날의 프랑스 국립도서관은 루이 11세가 1480년 창설한 왕실도서관을 그 연원으로 삼는다. 프랑스 왕실도서관은 1537년부터 프랑스 국내에서 출간되는 모든 서적을 납본받기 시작했다. 그 시기 프랑스를 통치한 프랑수아 1세는 자신도 시인이었고 문학과 예술을 적극 후원했다. 그는 귀중본을 구하기 위해 이탈리아 출신 서적 중개상들을 고용했고 왕실도서관을 국내외 학자들에게 개방했다.

1891년 건립된 경복궁 집옥재(集玉齋)는 고종의 서재이자 외국 사신 접견 장소로 이용된 왕실도서관이었다. 2016년 조선시대 관련 도서 1000여 권과 왕실 자료 영인본 350여 권, 한국 문학 번역본 230여 권을 비치한 도서관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도서관이 왕실과 지배 계층의 독점에서 모든 시민의 것으로 바뀌는 과정은 지식의 국민주권 시대가 열리는 과정이기도 했다. ‘한 국가의 과거를 보려면 박물관, 현재를 보려면 시장, 미래를 보려면 도서관에 가보라’는 말의 울림이 크다.
 
표정훈 출판평론가
#중국 한나라#유교#일본 왕실도서관 서릉부#프랑스 국립도서관#경복궁 집옥재#미래를 보려면 도서관에 가보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