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여성시대]6부 ‘나는 엄마다’<上>가장이 된 엄마들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12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 2012년 현재 통계청에 따른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보면 25∼29세가 71.6%로 가장 높다가 30대는 56% 수준으로 떨어진다. 그러다 40대 초반부터 다시 크게 늘어난다. 40∼44세는 64.3%, 45∼49세는 67.7%로 나이가 들수록 참가율이 높다. 50대 초반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도 62.5%나 된다. 이들의 고용률은 노동시장 핵심 연령층인 20, 30대도 모두 제쳤다. 흔히 우리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M자형이라고 하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대부분이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개인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하는 생계형 자영업 등 불안정한 일자리에 집중돼 있다. 왜 한국의 40대 이상 여성 10명 중 6명이 일터로 나가는 걸까. 늘어나는 사교육비 때문이기도 하지만 경제 불황에 따른 가장의 책임을 대신 떠맡게 되는 경우도 많다. 남편의 실직과 파산으로 순식간에 가계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아이를 위해 가정을 위해 허드렛일도 마다하지 않고 일터로 나가는 엄마들의 마음에는 강한 모성의 힘이 자리하고 있다. ‘신여성시대’ 기획 마지막 6부 ‘나는 엄마다’ 편(상·하)의 키워드는 ‘모성’이다. 》     
     
     

고층 빌딩 청소를 할 때마다 콧노래를 부른다는 김영미 씨(왼쪽 큰 사진), 자신의 가게를 갖고 아이들과 함께 살려는 꿈도 이룬 조순덕 씨(오른쪽 위), 새벽부터 저녁까지 일한 오랜 수고의 성과로 족발가게를 낸 오정남씨. ‘엄마’라는 이름이 이들을 절망에서 일어서고 살아낼 수 있게 만들었다. 김영미·조순덕·오정남 씨 제공
고층 빌딩 청소를 할 때마다 콧노래를 부른다는 김영미 씨(왼쪽 큰 사진), 자신의 가게를 갖고 아이들과 함께 살려는 꿈도 이룬 조순덕 씨(오른쪽 위), 새벽부터 저녁까지 일한 오랜 수고의 성과로 족발가게를 낸 오정남씨. ‘엄마’라는 이름이 이들을 절망에서 일어서고 살아낼 수 있게 만들었다. 김영미·조순덕·오정남 씨 제공
“엄마는 무너질 수 없다”

● 빌딩 청소원 김영미(44·제주시 외도동)

고층 빌딩 청소 일을 하겠다고 했을 때 청소업체로부터 “안 된다”는 답이 돌아왔다. 이유는 오만 가지였다. 키가 작아서(150cm 미만), 여자라서, 체력이 안 돼서, 애 엄마라서…. 그럴수록 꼭 해내겠다는 열망이 생겼다. 나에게는 이혼 후 먹여 살려야 할 세 아이가 있었다. 처음엔 아빠가 키웠는데 수개월 만에 셋 모두 내 품으로 왔다.

식당 일, 가사도우미, 대리운전…. 닥치는 대로 일했다. 문제는 집세였다. 제주도는 집세를 1년에 한 번 한꺼번에 내는데 목돈을 마련하려니 등골이 휘었다. 고층 빌딩 청소 일당이 높다는 얘길 들었다. 돈을 많이 벌 수 있다니 솔깃할 수밖에 없었다. 청소업체 사장님을 매일 졸랐다. 간절하게.

매번 거절하던 사장님이 어느 날 “정말 로프 탈 수 있겠느냐”고 물어 왔다. 나는 “해보겠다”고 했다. 하지만 내게 일을 가르쳐 주던 사람도 처음엔 “못 가르친다”고 했다. 결국 내가 체력도 되고 겁도 없이 해내는 걸 보더니 “더 가르쳐 주겠다”고 했다. 일하고 싶다는 절실함, 해야 한다는 절박함이 없었으면 빌딩에 오르지 못했을 것이다. 엄마로서, 나는 좌절할 수 없었다.

10층 넘는 건물 유리창과 외벽 청소 일을 시작한 게 벌써 4년째다. 이 일을 시작할 때만 해도 기초생활수급자였는데 이제는 수급 상태를 벗어났다. 누구나 못 할 것이라고 했던 일을 할 수 있도록 이끈 힘은 내 자식들이었다.

밖에서 일하느라 시간이 없다 보니 아이들에게 따뜻한 밥 한번 제대로 해 주지 못해서 너무 미안하다. 그런 내가 쉬는 날이면 “엄마 피곤하니 주무셔야 한다”고, 방 한 칸에 나를 눕게 하고 애들은 밖에 나간다. 그 마음이 고마울 뿐이다.

사람에게 중요한 건 인성 아닌가. 학교에선 행복이 성적순 같지만, 밖에선 그게 다가 아니지 않나. 나는 아이들에게 남에게 나쁜 일 하지 말고 아프지 않고 자라 달라는 말만 반복한다.

나 혼자 산다고 생각하면 어려운 상황이 닥쳤을 때 이겨 낼 힘이 없다. 하지만 내 자식, 내가 책임지겠다고 낳은 자식을 생각하면 뭐든 해야겠다는 힘이 솟는다. 자식들 덕분에 청소 줄을 타게 됐고, 일어서게 됐다.

나는 건물을 청소할 때마다 콧노래를 부른다. 무슨 일이든 힘들다고 생각하지 않고 즐겁게 하려고 한다. 힘들고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에게 힘들다고 인상 쓰지 말라고, 울지 말라고 얘기해 주고 싶다. 웃으면 행복이 오는 게 아니라 행복하기 위해서 웃는 거다. 세상의 모든 힘겨운 사람들에게 웃으면서 행복을 찾으라고 노력해 보라고 전하고 싶다.

“아이들과 함께 살 수만 있다면…”

● 김밥집 사장님 조순덕(47·경기 수원시)


건물 옥상에 올라간 적이 있다. 재혼을 했지만 남편의 의처증은 점점 심해졌다. 친정엄마에게 맡긴 두 딸(첫 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들)이 사무치게 보고 싶었다. 목숨을 끊으려는 순간 친정엄마 말씀이 떠올랐다. “부모 그늘이 천리 밖까지 간다. 절대 딴마음 먹지 마라.” 그날로 나는 일곱 살 난 아들을 데리고 집을 나왔다.

아들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진단을 받았다. 선생님들 손을 할퀴는 등 이상한 행동을 반복했다. 전 남편처럼 사회에서 낙오자가 되면 어쩌나 걱정이 태산 같았다. 공부 잘하는 것은 바라지도 않고 그저 ‘사람처럼’ 살아갈 수 있기만 바랐다. 사람만 되면 어떻게든 밥 먹고 살아갈 수 있으니까. 무슨 수를 써서라도 꼭 고쳐주고 싶다는 절박함이 생겼다. 병원, 음악치료, 미술치료, 놀이치료…. 돈이 필요했다. 김밥 가게에서 일했다. 그리고 얼마 후 내 가게를 내야겠다고 마음먹었다.

발품을 팔면서 목 좋은 곳이 어딘지 꼼꼼하게 알아봤다. 눈여겨본 가게 앞에 하루 종일 서서 어떤 사람들이 오가는지, 연령대별로, 성별로 관찰하고 통계를 내보기도 했다. 아들이 정상적인 삶만 살아갈 수 있다면 어떤 일이라도 하겠다는 절박감에 힘든 줄도 몰랐다. 떨어져 지내는 두 딸과 함께 살겠다는 꿈도 품게 됐다.

정말 열심히 일했다. 그리고 이제는 작은 가게지만 김밥 가게 사장이 됐다. 정말 뿌듯하고 감사하다. 딸들과도 합치면서 꿈을 이뤘다. 둘째 딸은 엄마와 떨어져 있으면서 방황을 많이 해 성적이 좋지 않아 전문계고에 보냈는데 전교 1등을 했다. 그 아이가 내년에 대학에 진학한다. 아들도 많이 좋아졌다. 의사 선생님이 청소년기만 잘 견디면 별 탈 없이 지낼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엄마는 아이들의 그림자 같은 존재라고 생각한다. 언제 어디나 따라다니면서 큰 힘이 되어 주는 존재 말이다. 그렇게 아이들에게 힘이 되어 주려고 했는데 아이들이 내게 큰 힘이 되었다. 가족이란 그 자체로 힘이자 행복이었다.

아무런 희망을 찾을 수 없어 앞이 보이지 않던 때, 아이들과 함께 살고 싶다는 꿈이 있어서 오늘의 내 삶을 이룰 수 있었다. 이제 더 큰 꿈을 갖는다. 나 같은 사람들이 있으면 도와주고 싶다. 요즘은 장사가 잘되지 않는 분들이 우리 가게를 찾아와 상담도 하고 간다. 내가 해 줄 수 있는 건 그분들을 열심히 도와주고 필요한 것을 알려 주는 일이다. 내가 배운 건 없지만 그렇게 살아가고 있다. 더불어서 나누면서.

“엄마는 아이들의 미래다”

● 족발가게 사장님 오정남(44·인천 부평구)


결혼 10년 만에 출산했다. 시험관 시술에 4번째 도전해서였다. 아들딸 쌍둥이를 품에 안았을 때 세상을 다 가진 것 같았다. 하지만 행복은 오래가지 않았다. 남편의 사업 부도로 빚쟁이들에게 쫓겨 다니는 신세가 됐다. 쌍둥이들 껴안고 죽으려다가, ‘지금 내가 정신 못 차리면 아이들의 미래는 없다’는 생각에 마음을 다잡았다. 결국 남편과는 이혼했다.

지난 6년간 하루 4시간 자기도 힘든 날이 대부분이었다. 처음에는 공장 화장실 청소 일부터 시작했다. 새벽 3시에 일어나 버스를 두 번 갈아타고 출근했다. 청소 일을 끝내고 낮에는 초등학교 급식실에서 반찬과 식판 나르는 일을 했다. 집에서 가족을 위해 식사를 준비하기만 했던 내가 400∼500명분의 식판을 옮기려니 힘들었다. 그보다 더 힘든 것은 아침마다 아이들을 떼어놓는 일이었다. 아침에 어린이집에 맡길 때면 헤어지기 싫다고 울어 댔다. 그때마다 살이 떨어져 나가는 것처럼 마음이 아팠다. 하지만 살기 위해서, 제대로 된 엄마의 모습을 보여 주기 위해서 이를 악물고 나섰다.

저녁에는 식당 일을 도왔다.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은 끝이 없는 터널을 걷는 것처럼 어둡고 무서웠다. 그래도 잠든 아이들 얼굴을 어루만지면서 버티자고, 이 아이들을 웃게 해 주자고 마음먹었다.

6년 만에 모은 돈이 2020만 원이었다. 남편의 부도 이후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큰돈이었다. 화장실 청소를 하러 새벽길을 나설 때마다 수없이 절망했는데, 처음으로 목돈을 만지니 절망의 콘크리트를 뚫고 희망이 보이는 것 같았다. 그 돈을 갖고 지인이 하던 족발 가게를 인수했다. 식당 일을 하면서 쌓은 요리 기술을 총동원해서 가게를 운영하고 있다. 여기까지 온 것이 나 혼자 힘만으로 된 게 아니라는 생각에, 더 좋은 재료를 쓰고 사람들에게 더 맛있는 밥 한 끼를 제공하고자 노력한다. 사람은 고통이 생기면 자기만 힘들다고 느끼지만 주변을 둘러보면 나보다 힘든 사람이 더 많다.

무엇보다 내가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고 열심히 살게 만든 원천은 아이들이었다. 얼마 전 생일에 딸이 작은 봉투를 주면서 “이 돈은 저축하지 말고 엄마 갖고 싶은 것 사야 돼”라고 했다. 3만 원이 들어 있는데 돈이 반짝반짝 빛이 나는 것 같았다.

여자라서, 엄마라서 강할 수 있었다. 갖고 있는 건 몸뚱이뿐인데, 이 몸뚱이로 열심히 사는 모습을 자식들에게 보여 줘야겠다고 생각했다. 엄마처럼 열심히 살면, 아이들도 어떤 역경을 맞든 견딜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아이들에게 주고 싶었다. 엄마는 아이들의 미래 아닌가.

김지영 기자 kimjy@donga.com     
목지선 인턴기자 성신여대 영문과 졸     
이병철 인턴기자 서강대 신방과 4년
#여성의 경제활동#엄마#여자#체력#김영미#조순덕#오정남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