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부 텃밭 가꾸기 궁금증 싹 풀어줍니다”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9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서울시 ‘농부 회원제’ 도입
도시농업 규모-참여자 급증하자 체계적 운영-지원방안 마련
‘농부등록+커뮤니티’ 포털 구축… “2023년까지 10만명 회원 확보”

서울 관악구 낙성대공원 인근 텃밭에서 만난 A 씨(45). 그는 3년째 주말이면 가족들과 텃밭을 찾아 오이와 상추를 키우고 있다. 주말에 가족들과 소일거리로 시작한 일이 해를 넘길 때마다 손에 익으면서 A 씨는 새로운 작물을 시도하고, 규모도 키우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하지만 도시농업과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도 마땅치 않아 인터넷만 뒤적일 뿐이었다.

앞으로는 A 씨 같은 도시농부들이 더 체계적으로 도시농업과 관련된 정보를 얻고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늘어나는 도시농업인의 추세에 발맞춰 ‘서울농부 회원제’를 도입해 체계적인 운영과 지원방안 등을 마련한다고 8일 밝혔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도시농부 등록시스템과 커뮤니티 기능을 갖춘 서울농부포털 등을 구축하고 있다.

서울시가 2012년 도시농업 원년을 선포한 뒤 도시농업은 규모와 참여자 모두 빠르게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서울시 도시텃밭 규모는 약 198ha(약 59만8950평)로 2011년(29ha)보다 6.8배가량 커졌다. 같은 기간 도시농업 참여자도 4만5000여 명에서 63만3000여 명으로 14.1배로 늘었다. 기존 도시농업이 개인·가족 단위의 여가나 교육 차원으로 이뤄졌다면 최근에는 ‘도시농업공동체’를 만들고 창업 등으로 이어지는 변화도 나타났다.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은 크게 늘었지만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은 미비한 상황이다. 자치구 가운데 텃밭 면적이 가장 큰 강동구(30.67ha)와 가장 작은 중구(0.1ha)의 면적 격차는 300배 이상이다. 자치구별 텃밭 규모와 참여자 규모에도 차이가 커서 지역균형 측면에서도 같은 정책을 펼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서울시는 올해 5000명을 시작으로 2023년까지 총 10만 명의 도시농업 회원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총 사업비는 17억7000만 원이다. 도시농업 개인회원이나 개인회원들이 관련법을 충족시켜 만든 도시농업공동체, 도시농업 교육기관, 비영리 민간단체 등이 대상이다.

우선 서울농부포털을 통해 도시농업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정기적으로 만드는 웹진과 e메일을 통해 회원들이 실시간 정보를 공유하고, 박람회나 정책정보도 제공한다. 포털에서 활발한 활동을 한 회원은 우수회원으로 선정해 이벤트 경비를 지원하거나 서울시와 공동으로 행사를 열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도시농부의 정착을 위해 수준별 농업기술교육 지원도 확대한다. 농업 경력에 따라 ‘입문’ ‘중급’ ‘전문가’ 과정 수업을 민간도시농업기관에서 들을 경우 교육비의 80% 이내에서 최대 32만 원까지 지원한다.

마을의 취약지역에 텃밭정원을 조성하거나, 버스 승강장·지하철 배기구 등에 그린존을 조성하는 등 공공성을 띤 사업을 추진하는 도시농업공동체엔 최대 2000만 원까지 사업비를 지원한다. 새싹인삼이나 새싹채소, 양봉, 수제전통주 같은 도시농업 특화 특수작물 재배도 심사를 거쳐 비용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다.

홍석호 기자 will@donga.com
#서울시#도시농부#서울농부 회원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