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위는 4대강에 보가 생긴 이후 녹조가 심해지고 하천 생태계 파괴가 심각해 일부 보의 해체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개별 보의 해체 여부는 보를 철거할 경우 수질과 생태계 회복, 보 유지 관리비 절감 효과 등을 종합한 ‘편익’과 보를 철거하는 데 드는 ‘비용’을 비교해 결론을 내렸다고 한다.
하지만 보 설치 이후 홍수 피해가 줄어들고 수질이 개선된 곳이 더 많다는 반론도 있다. 박석순 이화여대 환경공학과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4대강 사업 전인 2009년과 사업 후인 2013년 금강 하류의 수질을 비교한 결과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은 38%,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27.8%, 총인(TP) 58.2%, 클로로필a(ChI-a)는 47.6%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기획위는 수질평가 지표와 관련해 BOD 등 통상적인 항목은 제외하고 녹조 발생 항목 위주로 채택했다.
기획위원 구성이 공정했는지도 논란거리다. 민간위원 가운데 보 철거를 주장하거나 4대강 사업을 비난해 온 위원이 과반이었다. 그래서 4대강 사업을 ‘적폐’로 비판해 온 문재인 정부의 짜맞추기 결론 아니냐는 반발이 나오는 것이다. 대통령직속 국가물관리위원회는 7월에 기획위안을 보고받고 보 처리 방안을 최종 결정한다. 국가물관리위는 기획위의 ‘가이드라인’에 개의치 말고 공론화 절차를 제대로 밟을 필요가 있다. 여기서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한 전문가들의 추가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