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서울병원 신동운 가정의학과 교수, 전홍진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최혜림 가정의학과 임상강사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바탕으로 2010~2018년 뇌졸중을 겪은 환자 20만7678명의 특성을 분석했다. 이어 나이와 성별 등을 고려해 조건을 맞춘 일반인 29만4506명과 비교했다.
그 결과, 뇌졸중 환자는 발병 첫해에 우울증 발병 위험이 대조군에 비해 5.02배 높았다. 또 뇌졸중으로 중증 장애가 남은 경우 우울증에 걸릴 위험은 9.29배까지 치솟았다. 다만 시간이 흐를수록 위험 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뇌졸중 발병에 따른 생리적 변화와 사회적 압박감, 뇌 속 신경전달물질의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우울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추정했다.
전홍진 교수는 “뇌졸중이 발생하면 인지 기능이 떨어지고 팔다리 운동 기능에 장애가 생겨 이전의 직업·사회적 기능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며 “뇌졸중 환자가 더 깊은 절망에 빠지지 않도록 우울증 예방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환경 연구와 공중 보건(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최근호에 게재됐다.
조혜선 동아닷컴 기자 hs87ch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