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러한 상황에서 국산차업체의 대응 방안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상품성의 극대화. 또 한 가지는 부분변경모델이나 차체의 형태를 바꾼 파생모델로 기존 라인업을 세분화하는 것이다.
아반떼는 현대차의 대표적인 베스트셀러다. 소비자가 비슷한 금액을 지불하고 누릴 수 있는 만족도가 비교적 높다는 뜻이다. 문짝 4개의 세단형이 주력이던 이 모델의 쿠페형인 아반떼 쿠페는 문짝을 2개로 줄이고 외관에도 작게나마 날렵한 느낌을 가미했다.
체감 성능도 세단형 아반떼와 다르다. 정지상태에서 가속페달을 밟을 때의 속도감은 물론, 서스펜션(차체 하단 충격흡수장치)을 보다 단단한 느낌으로 설정하고 운전대를 돌릴 때의 응답성도 높였다. ‘같은 기반의 차를 타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차에서 내려 겉모습을 볼 때 정도다.
제법 높은 점수를 줄 수 있는 가속능력에 비해 고속주행에서 다소 안정감이 떨어진다는 점은 아쉽게 느껴졌다. 차체 높이가 1435mm로 세단형과 차이가 없는데 이를 좀 더 낮춰 공기역학적 측면을 개선했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안전장치는 동급 준중형차로는 완벽에 가깝다. 6개의 에어백과 타이어공기압경보장치(TPMS), 급제동 경보장치와 후방 주차 보조시스템을 전부 기본으로 적용했다.
경제성 면에서는 만족스럽다. 보통 높은 성능은 높은 구입가격과 유지비를 수반하지만, 가격은 1645만∼1995만 원으로 세단형(1365만∼1955만 원)과 큰 차이가 없다. 엔진의 가격차이만 따지더라도 충분히 가치가 있는 선택이다. 연료소비효율은 L당 12.4km로 세단형(13.9km)에 비해 10%가량 떨어진다. 약간의 부담을 감수하고 개성과 달리기 성능을 중시하는 소비자라면 나쁘지 않은 선택으로 여겨진다.
이진석 기자 gene@donga.com
‘메이드 인 코리아’ 무기로 中 ‘해상민병’ 격퇴 나선 필리핀
홍준표 “권력 영원하지 않아…文, MB·朴 사면하라”
“강원도에 차이나타운 반대” 청원 57만명 돌파
백신 50일 접종률 2.65%… 출구 안보이는 ‘백신 터널’
‘공수처 산파’ 이찬희 “신생아 공수처가 檢상위기관 행세 문제”
이인호 “한미, 北인권 인식차 못좁히면 관계 악화될것”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