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 부총리는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특히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 등 향후 금리 경로에 대한 연준과 시장과의 인식차가 당분간 지속될 경우, 향후 국제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추 부총리는 “경제·금융팀은 긴밀한 공조 하에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부문별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에 따라 적기에 대응해 나가는 한편, 최적의 정책조합을 더욱 정교하게 모색하겠다”고 했다.
그는 “최근 회사채와 CP스프레드가 크게 축소되고 있으나 비우량물까지 시장 안정세가 안착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40조원 이상 확보하고 있는 대응 여력을 활용해 시장 안정세를 확산시켜 나가고,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의 회사채 발행도 어려움이 없도록 P-CBO 지원 대상과 한도를 확대 운용하겠다”고 했다.
추 부총리는 부동산 리스크 관리에 대해선 “PF사업장에 대한 보증지원 확대 등으로 PF 시장을 안정화시켜 나가는 한편, 건설사 유동성 지원 확대 및 부동산 대출 규제 정상화 등을 통해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적극 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고금리에 따른 서민금융 부담 완화 노력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올해 10조원 규모의 정책서민금융을 공급하는 한편, 긴급생계비 대출 등 취약계층 맞춤형 금융지원과 저금리 특례보금자리론 공급도 차질없이 실행해 나가겠다”고 했다.
추 부총리는 또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외환·자본시장 선진화에 매진하겠다”며 “해외소재 외국 금융기관의 국내 시장 참여 허용, 개장시장 연장 등을 통해 외환시장 접근성을 제고하겠다”며 “외국인 등록제 폐지, 상장사 영문공시 단계적 의무화,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등 국내 자본시장 투자환경 개선 노력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한편 미 연준이 올해 첫 FOMC에서 정책금리를 기존 4.25~4.5%에서 4.5~4.75%로 0.25%p 인상한 데 대해선 “작년 한해 유례없이 가파른 속도로 금리를 인상했던 연준이 통상적인 금리 인상 폭으로 속도를 조절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