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기업들 ‘급전’ 경고등…
단기차입금 비중 40% 육박 SK케미칼은 경기침체 직격타를 맞아 2분기(4∼6월) 연결기준 적자로 전환했다. 사업 실적은 부진한데, 바이오 등 연구개발(R&D) 비용이 계속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 회사가 지난달 공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단기차입금은 2723억 원(개별기준)이다. 작년 동기 1337억 원의 두 배가 넘고, 2년 전(29억 원)과 비교하면 94배로 늘어났다. 전체 외부 조달 자금 중 단기차입금의 비중도 2021년 6월 0.9%에서 올해 6월 49.3%로 급등했다. 기업들의 외부 자금 조달 유형 중 만기 1년 미만의 단기차입금 의존도가 지난해 40%에 육박하며 3년 내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자금 조달이 쉽지 않자 국내 기업들이 고금리의 급전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24일 동아일보가 한국경제인협회에 의뢰해 국내 비금융 외부감사 대상 법인기업 3만1908곳의 최근 3년간 회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 기업의 외부 자금 조달 규모는 2020년 913
단기차입금 비중 40% 육박 SK케미칼은 경기침체 직격타를 맞아 2분기(4∼6월) 연결기준 적자로 전환했다. 사업 실적은 부진한데, 바이오 등 연구개발(R&D) 비용이 계속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 회사가 지난달 공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단기차입금은 2723억 원(개별기준)이다. 작년 동기 1337억 원의 두 배가 넘고, 2년 전(29억 원)과 비교하면 94배로 늘어났다. 전체 외부 조달 자금 중 단기차입금의 비중도 2021년 6월 0.9%에서 올해 6월 49.3%로 급등했다. 기업들의 외부 자금 조달 유형 중 만기 1년 미만의 단기차입금 의존도가 지난해 40%에 육박하며 3년 내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자금 조달이 쉽지 않자 국내 기업들이 고금리의 급전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24일 동아일보가 한국경제인협회에 의뢰해 국내 비금융 외부감사 대상 법인기업 3만1908곳의 최근 3년간 회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 기업의 외부 자금 조달 규모는 2020년 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