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구도 과메기도 못 이룬 꿈, ‘표준어’ 곰장어[손진호의 지금 우리말글]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6월 13일 09시 00분


코멘트
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녀석의 모습은 징그러우나 짭조름한 감칠맛이 뛰어나다. 여름이 제철이지만 아무 때나 즐겨 먹는 보양식으로 자리매김했다. 재미있는 건, 실제론 없는 물고기 이름인데도 사전에까지 올랐다는 사실이다. 짐작했겠지만 ‘곰장어’다. 언중은 한술 더 떠 ‘꼼장어’라 부른다.

곰장어는 껍질이 벗겨진 채로 10시간을 움직일 만큼 생명력이 강하다. 언중은 뜨거운 불판 위에서도 끝끝내 꼼지락대는 녀석을 곰장어(꼼장어)라 이름 붙였다. 마침내 사전은 ‘먹장어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로 곰장어를 표제어로 삼았다. 녀석의 진한 생명력이 아구(표준어는 아귀)도, 과메기(경북 지역 사투리)도 이루지 못한 표준어의 꿈을 이루어준 셈이다.

사실 곰장어는 하얀 살점에 씹히는 맛이 그만인 ‘아나고’를 순화한 ‘붕장어’나, 샤부샤부로 주로 먹는 갯장어, 민물장어라고 부르는 뱀장어와는 다른 종이다. 사전이 늦게나마 먹장어 뜻풀이 중 ‘뱀장어의 사투리’(평북) 부분을 제외한 건 맞다.

질긴 생명력을 인정받은 곰장어도 ‘슬픈 역사’를 안고 있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이 전시체제로 돌입하면서 곰장어 가죽을 활용한 게 계기였다. 일본이 가죽만 벗겨갔고 버려진 고기는 가난한 식민지 조선인의 몫이 됐다. 그 후 6·25전쟁으로 피란민이 몰려들면서 부산 자갈치시장에서 곰장어를 구워 팔았다.
‘짚불곰장어’를 아는지. 석쇠에 곰장어를 통째로 올려 짚불에 구운 뒤 껍질과 내장을 제거하고 먹는 구이 요리다. 부산 기장의 향토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검게 탄 곰장어 껍질을 쓰윽 훑어내고는 지글지글 구워진 속살을 가위로 싹둑싹둑 자르는 장면을 한 번 떠올려보라. 대부분 눈을 가리거나 기겁한다. 허나 혀는 이내 감칠맛에 빠져든다.

곰장어와 찰떡궁합은 뭐니 뭐니 해도 소주가 아닐까 싶다. 그런데 누군가는 ‘쏘주’가 제격이란다. 소주라 부르면 왠지 인생의 고단함이 빠진 것 같다고. 그러고 보니 내겐 ‘깡소주’와 ‘깡술’이 그런 존재다. 속상하거나 마음이 아플 때면 저절로 찾게 되니 말이다. 표준어는 ‘강소주’와 ‘강술’이다. 이때의 ‘-강’은 ‘그것만으로 이루어진’ ‘물기가 없는’ ‘억지스러운’의 뜻을 지닌 접두어다. 강소주와 강술, 강기침, 강울음과 강주정이 그렇다. 강울음은 눈물 없이 우는 울음이고, 강주정은 술에 취한 체하고 하는 주정을 말한다. 이 중 강소주와 강술은 깡소주와 깡술에 밀려난 지 오래다.

깡소주와 깡술이 입말에서 우이를 잡았음에도 복수표준어의 지위를 얻지 못하는 건 왜일까. 된소리가 주는 투박함에다 약간 속된 표현 같아 보여서일 것이다. 하지만 이 낱말들엔 ‘강소주’와 ‘강술’로는 표현할 수 없는 서민의 애환 같은 게 배어 있다. 더는 ‘강소주와 강술의 잘못’으로 묶어두지 말고 말맛 차이를 인정해 주었으면 한다.

권커니 잡거니. 포장마차 등에서 벗들과 함께 먹는 곰장어구이는 ‘행복이다’. 달빛이 교교할 때면 더더욱이나.

손진호 어문기자 songba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