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인의 수염에 대한 열망은 어른의 세계를 선망하는 아이를 연상시킨다. 마치 어른 흉내를 내는 치기 어린 행동 같다. 페니 마셜 감독의 코미디 영화 ‘빅(Big·1988년)’의 주인공인 열세 살 조시도 그랬다. 소년은 키가 작아서 놀이기구 탑승을 거부당하자, 놀이공원에 있는 소원을 들어준다는 기계에 빨리 크고 싶다고 말한다. 다음 날 갑자기 어른이 된 소년은 어른들의 세계에서 좌충우돌하며 그곳이 결코 생각 같지 않음을 확인하게 된다.
수염과 흰머리가 성숙의 징표가 되지 못하듯 나이가 든다고 다 어른이 되는 것 같지는 않다. ‘빅’에서 소년이 어설픈 어른 되기를 포기하고 다시 소년으로 돌아간 것처럼, 박지원은 외양을 따라가지 못하는 내면의 미성숙에 주목한 점이 인상에 남는다. 어쩌면 6척의 몸뚱이가 전혀 커지지 않았다는 말도 내면의 미성숙을 시사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거울 속 우리의 모습은 해마다 변해 간다. 이 시는 나이가 드는 것이 외면의 노화만이 아니라 내면의 성숙이기도 함을 일깨워 준다. 그래서 나이 먹는 것은 쉽지만 진정한 어른 되기란 어려운 법이다. 세상의 어른들이 나이를 앞세우기보다 자신을 돌아보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임준철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나라 떠나겠다, 본사 이전” 이재용 옥중편지?…삼성 “가짜”
[김순덕 칼럼]A4용지 없는 文 신년회견
[이기홍 칼럼]집수리 맡겼더니 기둥 다 부수려 드나
16년차 응급의학과 의사 “조민 의사면허 정지해야” 국민청원
홍준표, 文대통령 겨냥?…“트럼프 말년 비참”
검찰, ‘김학의 불법출금’ 관련 법무부-공정위 압수수색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