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지배층 한글 널리 사용 입증”

정겨운 어감의 이 순우리말 이름들은 18세기 경남 진주의 대곡면 마진마을 재령 이씨 집안 노비와 마을 백성들의 이름이다. 이 노비들이 한글로 적은 계(契) 문서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안승준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올 4월 경남 진주시 마진마을 재령 이씨 종가 문서를 조사하다가 18, 19세기 이 마을 백성과 노비들이 한글로 쓴 ‘상계(喪契) 문서’를 다량 찾아냈다고 27일 밝혔다. 상계는 상(喪)을 치르고 제사 지내는 일을 서로 돕기 위해 만든 계다. 양반들이 한자로 적은 계 문서는 있지만 노비 등이 한글로 적은 계 문서는 처음이다.
이 문서는 계원 명단을 적은 계안(契案)과 돈의 출납 등을 적은 치부(置簿)로 구성됐다. 18세기 중후반 계안 2책, 19세기 초중반 치부 3책, 19세기 초반 전답 추수기록 3책 등 8책과 낱장 문서 23장 등이다. 상을 당한 사람의 이름과 부조 물품, 시기를 적었고 임원들이 확인 서명을 했는데 거의 모두 한글로 돼 있다.
‘을유 시월 초 칠일 막산의 처상 때에 부조 조 한 섬 곡자 네 개 아울러 전수를 전급한다.’
치부에 쓰인 이 문장에서 ‘조(租)’는 도정하지 않은 벼, ‘곡자(曲子)’는 누룩을 의미한다. 이를 모두 돈으로 환산해 준다는 뜻이다.
안 책임연구원은 “지금까지 전해진 한글 문서는 왕실 여성이나 양반의 편지 등 지배계층의 것이 많아 조선시대 한글을 사용할 수 있는 천민이 적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며 “하지만 이번 발견으로 천민이 쓴 한글 문서들이 근대를 지나며 적지 않게 유실됐다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고 말했다. 계원들이 문서에 성과 이름을 모두 적은 것도 특징이다. 함께 발견된 이씨 가문 분재기(分財記)에 이 집안 소유 노비들은 성 없이 이름만 적혔다. 안 책임연구원은 “분재기에는 양반의 예속민으로 이름만 적혔지만 계원으로 기록할 때는 성을 함께 적어 국가의 공민(公民)이라는 의식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현재 이씨 집안이 소장한 고문서 2만여 점을 계속 분석 중이어서 문서가 추가로 나올 가능성이 높다. 이 문서는 7월 1일부터 열리는 한국학중앙연구원(경기 성남시 분당구) 장서각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에 전시될 예정이다. 전시에서는 ‘월인석보’와 ‘한산 이씨 고행록’을 비롯한 한글 고문서와 책자 100여 종을 볼 수 있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
서울시청 직원 게시판에 “김어준 퇴출해야” 글 잇달아
박영선 고배 들이켜게 한 여권 인사 5인
진중권 “선동가 된 서민, 우리사이 끝”→ 서민 “죄송, 정권 바뀔 때까지는”
[단독]오세훈의 서울시 “공시가격 재조사하겠다”
대일고·고려대 동문, 야권 ‘대선 승리’ 디딤돌 놓았다
진중권 서민 비난에…주옥순 “당신은 반성할 것 없나? 겸손 하라”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