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지구를 떠날 수 없는 이유

Posted November. 21, 2020 08:48,   

Updated November. 21, 2020 08:48

日本語

 지구는 태양계의 행성 중에서 사람이 살기에 딱 좋은 곳이다. 다른 행성과는 달리 대기층이 생명체를 보호한다. 지구에 대기가 존재하는 이유는 중력이 대기를 붙잡고 있기 때문이다.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너무 멀지도 너무 가깝지도 않은 거리에 있고 그 크기도 적당하다. 그래서 지구에 작용하는 중력은 대기가 우주로 흩어지거나 지표면에 흡착되는 일 없이 일정한 두께의 대기권을 유지하도록 절묘하게 작용하고 있다. 인간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만드는 이러한 대기 형성 조건은 신비로울 정도다.

 대기권은 지상 1000km 두께로 지구 보호막 역할을 한다. 지표면에서 약 11km까지의 대류권에서는 바람, 구름, 비, 눈 등 날씨를 만드는 기상현상이 일어난다. 기상현상은 대기의 순환을 통해 지구 전체의 에너지 평형을 이뤄 온도 차를 줄이고 지구 곳곳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그러나 이처럼 조화롭던 대기권이 인간이 배출한 이산화탄소로 균형이 깨어지면서 기후변화가 선을 넘어 돌이키기 힘들게 됐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지구적 차원의 노력이 유엔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지구 황폐화를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 지구를 떠나 다른 행성으로 이주해야 한다는 공상과학 같은 이야기가 거론된다. 2018년 타계한 천체물리학자 스티브 호킹 박사는 지구온난화로 인간 멸망을 원치 않는다면 200년 안에 지구를 떠나라는 유언을 남겼다. 테슬라의 창업주 일론 머스크는 화성에 새로운 피난처를 마련하기 위해 우주왕복선 사업인 ‘스페이스 X’를 시작했고 이달 16일 유인 우주왕복선 ‘리질리언스(Resilience)’를 실제 발사했다. 이 우주왕복선에 탑승한 비행사들이 무사히 귀환할 경우 ‘민간 우주 수송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인간이 다른 행성을 개척하는 것은 과학기술사에 큰 의미가 있는 일일 것이다. 하지만 지구를 버리고 새로운 거주지를 만들기 위한 것이라면 그 가능성 여부를 떠나 비판적으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지구를 인간의 집(House)으로 본다면 낡은 집을 버리고 새집으로 이사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구를 인간의 가정(Home)으로 여긴다면 쉽게 떠날 수 있는 게 아니다. 가정은 구성원 간의 불가분한 관계로 이루어지는 공동체이기 때문이다.

 지구를 인간의 가정으로 보는 시각은 인간 중심의 산업문명에서 지구 중심의 생태문명으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토머스 베리의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다. 지구를 생명과 자연이 연결된 공동체로 보는 그의 사상은 지구에 법적 인격을 부여하는 지구법학(Earth Jurisprudence)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태초의 빅뱅에서 시작된 지구의 탄생과 대기의 형성, 그리고 생태문명으로의 전개가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베리는 ‘우주이야기’에서 들려주고 있다. 그의 사상에 따르면 인간은 황폐화된 지구를 버릴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지구와 인격공동체인 인간이 훼손된 지구를 되살리는 것이 스스로를 치유하는 길이라는 것을 베리는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