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6•25 종군 美여기자 히긴스 아시나요”

Posted June. 30, 2020 08:34,   

Updated June. 30, 2020 08:34

日本語

 70년 전인 1950년 6월 27일 미국의 한 여성 신문기자가 김포공항에 도착했다. 이틀 전 발발한 6·25전쟁을 취재하기 위해서였다. 그는 베를린 봉쇄 사건 등 세계적인 특종을 한 미국 뉴욕 헤럴드트리뷴의 종군기자 마거릿 히긴스. 인천상륙작전 르포와 ‘한국전쟁(War in Korea)’ 저술 등으로 여성으로서는 처음 퓰리처상을 받았다.

 군복이 잘 어울린다는 그 히긴스가 대형 사진 속에서 활짝 웃고 있었다. 충남 공주시 정자방1길 김점석 한국정책방송원(KTV) 전문위원(64·프래랜서)의 집에 들어섰을 때였다. 1950년 10월 미국의 유명 주간지 라이프에 실린 히긴스 특집 기사의 사진이었다. 방은 히긴스 박물관 같았다. 그가 6·25전쟁 취재 때 사용하거나 착용했던 타이프, 고글, 군복과 동일한 제품들이 진열돼 있다. 히긴스가 기사가 실린 빛바랜 뉴욕 헤럴드트리뷴 신문, 미국에서 발행된 히긴스 우표…. 1991년 히긴스의 열혈 팬이 된 김 위원이 해외 경매나 국내 고서점 등을 통해 구한 것들이다. 히긴스가 종군 취재 6개월여 만에 펴낸 한국전쟁은 영어판 여러 개와 독일어, 프랑스어, 한국어 번역판을 모두 가지고 있다. 1951년 미국 출간 즉시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국내에는 2009년 처음 번역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김 위원은 출간 그해 번역본 ‘한국은 세계의 잠을 깨웠다’를 소장하고 있다. 김 위원은 “이런 귀중한 자료들을 통해 우리가 얼마나 힘들게 자유를 지켰는지 젊은 세대에게 알리고 싶지만 사회적 관심이 멀어져 전시 공간 마련조차 어렵다”고 안타까워했다. 

 1980년 동아방송에 합격했다가 신군부의 언론통폐합으로 입사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는 김 위원이 히긴스에게 매료된 것은 언론 자료 수집이 오랜 취미인 데다 그의 기자정신과 자유에 대한 메시지에 공감하기 때문이다. 여성이라는 이유로 히긴스는 번번이 종군 취재에서 벽에 부딪혔다. 인천상륙작전을 취재하려 할 때 미 해군은 함정에 여자를 태우지 않는다는 전통을 내세워 승선을 불허했다. 히긴스는 여자가 아니라 뉴욕 헤럴드트리뷴 기자라고 항변해 수송선에 탑승했다. 1950년 9월 18일자 뉴욕 헤럴드트리뷴에 실린 인천상륙작전 종군기 ‘붉은 해안’은 퓰리처상 수상의 계기가 됐다.

 히긴스는 귀국 후 자신의 저서를 들고 미국 전역을 다니며 전쟁 중인 한국을 돕자고 호소했다. 김 위원은 6·25전쟁의 의미를 일깨운 이 책의 마지막 부분을 되새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반도에서 우리는 준비하지 않은 전쟁을 치름으로서 값비싼 대가를 치렀다. 또한 승리는 많은 비용을 요구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패배할 때 치러야 할 비용보다는 훨씬 저렴할 것이다.


지명훈 mhj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