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검•경 독립 외면한 권력기관 개혁은 ‘권력 줄세우기’로 변질된다

검•경 독립 외면한 권력기관 개혁은 ‘권력 줄세우기’로 변질된다

Posted September. 22, 2020 08:34,   

Updated September. 22, 2020 08:34

日本語

 청와대는 어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제2차 국가정보원·검찰·경찰 개혁 전략회의를 열고 이제 1년 7개월여 남은 임기 내에 권력기관 개혁을 차질 없이 마무리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천명했다. 가장 논란이 돼온 검찰과 경찰간 수사권 조정 문제는 경찰이 상당부분 수사 종결권을 넘겨받게 됨으로써 이제는 경찰 수사를 누가 통제할 것인가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상황이다.

 정부는 어제 회의에서 경찰의 수사기능을 총괄 지휘하는 국가수사본부를 신설해 이를 해결해나가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국가수사본부의 권력으로부터의 독립이나 정치적 중립을 보장하기 위해선 경찰청장이 개별사건 수사에 지휘권을 행사하지 못하도록 하겠다는 방안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는 번지수를 잘못 찾은 것이거나, 국민의 눈을 속이기 위한 방편에 불과하다.

 최근 일련의 검찰 인사에서 볼 수 있었던 것처럼 청와대와 법무부는 정권의 입맛에 맞는 검찰 간부들을 핵심보직에 중용했다. 반면 정권을 겨냥한 수사를 하고 있던 검찰 간부나 검사들은 죄다 한직으로 내몰아 권력의 비리를 파헤치는 수사는 힘을 잃게 됐다. 경찰에 신설하겠다는 국가수사본부의 독립성 문제는 인사가 핵심이다. 권력의 입장에서는 경찰청장이 수사지휘권을 행사하든 말든 국가수사본부장을 입맛에 맞는 인사로 기용하면 그만일 뿐이다.

 국정원 개혁 역시 국내정치 개입을 막기 위해 국내정보 수집기능을 크게 축소한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긴 하지만, 대공수사권을 경찰로 이관하는 것은 국가안보상의 공백이 우려된다. 정보와 수사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데도 대북정보 수집기능과 대공수사권이 분리됨에 따라 간첩 잡는 대공수사는 무력화될 수밖에 없다. 또한 대공수사권을 넘겨받는 경찰은 권력기관의 권한을 분산시키겠다는 당초 권력기관 개혁의 취지와는 달리 비대화되는 것이 불가피해 보인다.

 어제 청와대 회의는 특별히 새로운 내용이 없었는데도 추미애 법무부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것을 두고도 의구심이 일고 있다. 청와대는 예정된 회의였다고 밝혔지만, 아들 군복무 특혜 의혹으로 궁지에 몰린 추 장관에게 힘을 실어주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말들이 나온다.

 지금까지의 검찰 개혁은 검찰 개혁의 핵심인 검찰의 독립과 정치적 중립은 온데 간데 없이 ‘권력 줄세우기’로 변질된 상황이다. 경찰은 검찰 보다 정치권력의 통제력이 미치기 손쉬운 상황이다. 현 정부가 표방하는 권력기관 개혁은 지금 이대로라면 권력기관의 시녀화와 범죄·대공수사의 공백을 불러올 우려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