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일제 총칼에... 민간인 사망자 553명중 평안도 231명 최다

일제 총칼에... 민간인 사망자 553명중 평안도 231명 최다

Posted October. 26, 2019 09:21,   

Updated October. 26, 2019 09:21

日本語

 일제 총독부는 비폭력 평화주의를 표방한 3·1운동에 대해 첫날부터 총을 발포하는 폭압적 방식으로 대응했다. 1919년 3월 1일 조선총독 하세가와 요시미치는 경성에서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난 직후 성명을 발표한다. “(3월) 3일에 거행될 (고종) 국장을 앞두고 애도의 지정(至情) 대신에 황당무계한 유언비어로 민중을 선동하고 무엄한 일을 감행하는 무리가 있다면 추호의 가차도 없이 엄중 처단한다.”(조선총독부관보, 1919년 3월 1일) 이정은 대한민국역사문화원 원장은 “조선총독부의 ‘엄중 처단’ 방침이 사실상 일본 군경의 발포 명령으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폭압적 만행은 대부분 평안도 지역에서 벌어졌다. 평안남도 선천에서는 3월 1일 질서 있게 행진하던 시위대를 향해 일경이 총탄을 발사해 강신혁이 현장에서 죽고 주민 12명이 부상당했다. 같은 날 평양에서는 총에 맞아 다친 5명이 병원에서 모두 숨지는 일도 있었다. 2일에도 평남 강서군에서 일본 헌병들은 독립만세 소리가 나자마자 발포를 시작해 한 남자가 머리에 총탄을 맞고 즉사했다. 이들은 도망가는 어린 소년의 등에 총탄을 퍼붓기도 했다.(재한 선교사 보고자료, 1919년 3월 6일)

 일제는 시간이 흐르며 만세운동이 확대될수록 광분했고 피해 규모는 커져만 갔다. 3월 4일 평남 강서군 사천시장에서는 사망자 9명(한국 측 기록 50명), 9일 영원군에서는 수십 명의 사상자를 각각 냈고, 10일 맹산에서 최대 규모의 집단 학살극을 벌였다.

 조선총독부의 ‘조선소요사건 총계일람표’(1919년 6월 30일)에 따르면 3·1운동 당시 전체 민간인 사망자 553명 가운데 평안남도가 124명으로 가장 많았다. 또 평안북도가 107명으로 뒤를 이었다. 일제가 축소 왜곡한 통계에서도 전체 사망자의 40%가 평안도 지역에서 발생한 셈이다.

 이정은 원장은 이에 대해 “평안도 지역은 기독교와 천도교 등 반일의식이 강한 종교단체가 중심이 돼 3·1운동을 조직적으로 이끌었다”며 “일제는 종교인들을 응징함으로써 만세운동의 와해를 노렸다”고 해석했다. 실제로 천도교세가 강했던 평남의 경우 천도교 조직이 와해되면서 3월 11일 이후 만세운동이 급감했다.


안영배 oj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