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헤지펀드 공격 막아줄 경영권 방어장치 필요하다

헤지펀드 공격 막아줄 경영권 방어장치 필요하다

Posted July. 08, 2015 07:07,   

日本語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가 삼성 그룹을 전방위로 공격하고 있다. 삼성물산 지분 7.12%를 매집한데 이어 삼성물산의 주요 주주인 삼성SDI와 삼성화재 주식을 1%씩 확보했다. 엘리엇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에 반대하고 있으며 17일 주주총회에서 합병이 성사되더라도 앞으로 사사건건 경영에 간섭할 개연성이 높다. 이들은 삼성물산-제일모직의 합병 비율이 삼성물산에 불리하게 돼있다면서 주주 권익을 주장하지만 시세 차익 실현이 주 목적으로 보인다.

글로벌 헤지펀드들의 한국 기업 공격은 삼성에 그치지 않을 공산이 크다. LG SK 같이 지주회사로 전환한 대기업들을 제외하고, 현대자동차 대한항공 현대중공업처럼 대주주의 지분이 적고 기업 지배구조가 취약한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들이 연달아 공격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적대적 인수합병(M&A)이 활성화되어 경영을 잘 못하면 기업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가는 것은 자유시장 경제에서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래야 기업 혁신이 이뤄지고 경제에 끊임없이 새 물이 들어온다. 1997년 외환위기 직후 정부가 적대적 M&A 활성화를 통해 기업 건전성을 촉진하려 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상황은 단기 차익을 노린 해외 투기 펀드들이 한국 기업들을 위협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한국 기업들의 경영권 방어 장치 삼성물산이 KCC에 자사주를 매각해 의결권을 부활시킨 것처럼 자사주 처분이 거의 유일하다. 선진국에 경영권 방어 제도가 튼튼하다. 1주에 다수 의결권을 주는 차등의결권, M&A 공격이 들어오면 기존 주주가 신주를 싸게 살 수 있는 포이즌 필(독약), M&A 표적 기업의 경영진에게 높은 상여금을 지급하도록 해 공격자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황금낙하산제도 등이다. 미국의 구글과 포드, 스웨덴의 발렌베리 가문은 차등의결권을 갖고 있어 경영권 걱정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투자와 연구개발을 할 수 있다. 한국도 경영권 보호 수준이 너무 낮지 않은지 법적 제도적 검토를 할 때가 됐다.

2003년 SK가 소버린에게 공격당한 이후 경영권 방어 제도의 필요성이 거론됐으나 무산된 것은 경영을 잘못해도 경영권을 보장해줌으로써 재벌 세습에만 이용될 것이라는 불신이 팽배했기 때문이다. 1주 1표라는 시장원리에 반하는 경영권 방어 제도를 도입하려면 기업들이 국민과 시장을 안심시킬 만한 투명 경영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