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세종, 육식 즐겨 비만에 당뇨병

Posted August. 22, 2005 03:11,   

日本語

세종은 비만과 당뇨, 광해군은 화병과 눈병.

조선시대 왕들의 질병과 치료법을 통해 이 시대 의학 변천사를 연구한 박사학위 논문이 나왔다. 서울대 대학원 의학과에서 의사학()을 전공한 김정선() 씨는 최근 조선시대 왕들의 질병치료를 통해 본 의학의 변천이란 제목의 박사학위 논문을 제출해 이달 말 학위를 받을 예정이다.

논문에 따르면 세종(13971450년)은 젊은 시절 육류 없이는 식사를 못할 정도로 육식을 좋아했으나 운동을 싫어해 비만한 체구였다. 또 35세 무렵에는 하루에 마시는 물의 양이 한 동이가 넘을 정도였던 것으로 미뤄 당시 당뇨병을 앓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김 씨는 밝혔다.

문종(14141452년)은 세자 때부터 종기에 시달렸다. 그러나 치료법은 종기 부위에 고약이나 거머리를 붙이는 정도여서 40세가 안 돼 종기 악화로 숨졌다. 성종(14571494년)은 어려서부터 여름만 되면 더위병에 시달려 이 병으로 인사불성이 된 적도 있다.

연산군(14761506년) 때는 의원들이 음욕()을 채우려는 연산군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양기()를 돕는 풀벌레와 뱀을 진상했다는 기록이 있다. 중종(14881544년)은 해열제로 야인건수()를 먹었다는 내용도 나온다. 야인건이란 인분()을 말한다.

임진왜란 이후 침구술이 발달해 왕의 건강과 질병치료를 담당한 기관인 내의원() 치료에 널리 쓰이면서 화병과 눈병을 앓던 광해군(15751641년)은 먹는 약보다 침을 많이 맞았다. 평소 보양법을 중시한 영조(16941776년)는 자신의 건강 비결을 인삼의 정기라고 생각해 72세 되던 해에는 1년에 20여 근의 인삼을 먹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영조는 철저한 건강관리로 조선시대 왕 중 최장 수명을 누렸다.

김 씨는 논문에서 조선시대 왕들의 질병 치료 내용은 조선시대 의학발달에 영향을 미쳤다며 민간인들도 내의원의 치료 방법을 모범적인 것으로 여겨 따라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종석 wi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