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하루 확진 1만 넘었는데도 제자리 맴도는 경증환자 대책

하루 확진 1만 넘었는데도 제자리 맴도는 경증환자 대책

Posted January. 27, 2022 07:55,   

Updated January. 27, 2022 07:55

ENGLISH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빠르게 확산하면서 일일 신규 확진자가 어제 0시 기준 1만3012명으로 집계돼 사상 처음으로 1만 명을 넘어섰다. 지난 18일 4072명이던 하루 환자가 일주일 후 두 배로 뛰더니 다시 하루 만에 4400명 넘게 폭증한 것이다. 방역당국은 다음달 말이면 하루에 최대 12만 명의 확진자가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

 정부는 어제부터 오미크론 환자가 집중된 광주, 전남, 경기 평택시와 안성시 등 4개 지역에서 오미크론 대응 체계를 가동한데 이어 설 연휴가 끝나는 다음달 3일부터는 전국으로 확대 시행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누구나 받을 수 있었던 유전자증폭(PCR) 검사는 고위험군에 한해 시행되고 대부분은 자가진단키트나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와야 PCR 검사를 받게 된다.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 변이에 비해 전파력은 2∼3배 강하지만 치명률(0.16%)은 델타(0.8%)의 5분의1 수준이다. 유행의 양상이 달라짐에 따라 방역의 목표를 확산 방지에서 고위험군 관리로 전환한 것이다.

 문제는 무증상 혹은 경증 환자의 폭증이 불 보듯 뻔한데 이들을 담당할 치료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어제까지 재택치료 환자는 3만7000여명으로 전국의 재택치료 기관이 관리 가능한 최대 인원(5만8000명)의 60%를 넘어섰다. 설 연휴 직후엔 최대치 이상으로 환자가 쏟아질 전망이다. 정부는 환자 급증에 대비해 지난 14일 동네병원이 환자 진단과 재택치료를 맡는 체계로 전환한다고 발표했지만 2주가 지나도록 참여 병원의 규모조차 공개하지 못하고 있다. 경증환자는 치료를 포기하겠다는 것인가.

 동네 병원들이 참여를 꺼리는 이유는 의료진 감염의 우려가 큰데다 코로나 치료를 맡으면 일반 환자가 찾지 않아 경영상 어려움을 겪게 되기 때문이다. 이는 감염병 위기 때마다 되풀이돼온 문제다. 정부는 적정한 보상 체계와 오미크론 변이에 맞는 감염 관리 지침을 마련해 동네 의원들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오미크론의 치명률이 낮다고 하지만 절대 환자 수가 급증하면 위중증 환자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 중환자용 병상 관리도 손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