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국내 車산업 생산성, 선진국의 절반”

Posted July. 29, 2020 07:39,   

Updated July. 29, 2020 07:39

ENGLISH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상반기(1∼6월)에 심각한 불황을 겪었던 세계 자동차업계가 하반기(7∼12월)부터 생산 증대에 나서고 있지만, 국내 자동차업계는 각종 규제와 경직된 노사관계에 발목이 잡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2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제4차 산업 발전포럼 겸 제9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에서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산업생산성 제고 방안이 논의됐다. 한평호 한국생산성본부 부소장은 “국내 제조업이 자동화와 기술 혁신에 힘입어 생산성이 개선됐지만 자동차업계는 여전히 노동투입 성장에 의존하며 노동생산성이 하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자동차업계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은 대기업의 46% 수준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생산성은 근로자 1인이 일정 기간 동안 산출하는 생산량 또는 부가가치를 의미한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 동안 국내 자동차산업 전체의 노동생산성은 1억5500만 원으로, 제조업 평균 1억7500만 원보다 적었다. 자동차 부품 분야에 국한하면 1억1800만 원에 불과해 차량 제조 분야 2억6300만 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반면 이 기간 자동차산업에 투입된 노동비용은 제조업 평균보다 32% 많았다. 부품 분야에서 노동비용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자동차업계의 노동비용 증가율은 3.49%로 제조업 평균 0.35%를 크게 상회했다. 국내 자동차산업의 고비용 구조가 고착화되면서 2011∼2018년 노동생산성은 독일의 52.4%에 그쳤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5개국 중 10번째였다.

 이처럼 취약한 구조인 자동차산업에 코로나19 불황까지 겹치자 업계는 “현재의 방식으로는 코로나19 이후 자동차 수요에 대응할 수 없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장은 “앞으로 자동차는 개성적인 소비 트렌트로 바뀌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차량을 제때 생산해 빨리 공급해야 한다”며 “생산설비 가동과 노동력 투입, 노동시간 운영에 대한 유연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마다 임금협상을 벌이고, 노동조합과 합의 없이는 공장별 생산물량 재배치마저 어려운 완성차업계의 상황도 개선해야할 점으로 지적됐다.

 반면 노동계에서는 ‘고용의 안정성’을 강조했다. 이성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 정책국장은 “부품산업의 생태계 개선을 통한 기술개발과 인적자원 양성이 절실하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금격차를 줄이고, 대기업으로 인력이 집중되는 걸 막기 위한 방안으로 업계 차원의 ‘표준임금제’ 도입을 주장했다.


서형석 skytree08@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