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빚으로 쌓은 모래성 돈 버는건 하세월, 망하는건 한순간

빚으로 쌓은 모래성 돈 버는건 하세월, 망하는건 한순간

Posted January. 15, 2013 02:36,   

ENGLISH

열심히 전단을 돌리며 홍보한 덕에 처음엔 기대한 만큼 매상이 올랐다. 하지만 석 달이 지난 뒤 손님이 가파르게 줄더니 금세 가게는 썰렁해졌다. 2년 만에 퇴직금을 모두 날린 그는 지난해 말 음식점 문을 닫고 건물 경비원으로 재취업했다. 그는 수십 년을 열심히 살며 장만한 아파트까지 처분할 땐 눈물이 났다. 돈을 모으는 데는 수십 년이 걸렸는데 망하는 건 순식간이더라고 하소연했다.

한국 중산층 가구의 문제는 이처럼 한 번 삐끗하면 단번에 하위계층으로 추락하는 고위험군()이 많다는 점이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조기퇴직이 일상화됐지만 그에 걸맞은 개인의 노후대책이나 국가차원의 사회복지 안전망이 충분치 않기 때문이다. 특히 회사 등 소속된 조직의 정점()에 서 있는 베이붐 세대 중산층의 상당수는 겉보기엔 화려해도 속으로는 미래에 대한 불안과 빚더미에 짓눌려 있는 무늬만 중산층 처지다.

겉보기에는 화려하지만

제일 짜증나는 게 강남 살고, 회사차 타고 다닌다는 이유로 주변 사람들이 내가 되게 잘 나가는 줄 안다는 겁니다.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거든요. 그렇다고 속사정을 떠벌리고 다닐 수도 없고.

중견기업의 임원 이모 씨(54)의 월 소득은 600만 원. 통계청의 중산층 기준에 따르면 2011년 한국의 중위소득(전체 국민을 소득 순으로 한 줄로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사람의 소득)의 150%(525만 원)를 훌쩍 넘겨 고소득층으로 분류된다.

그는 6년 전 모은 재산을 탈탈 털고 은행에서 5억 원을 대출받아 서울 강남에 8억 원짜리 새 아파트를 분양받았다. 집값이 올라 행복했던 기간은 1년여에 불과했다. 2008년 이후 내리막을 탄 집값은 지금 살 때보다 1억 원 이상 빠졌다.

매달 이자만 280만 원이 들어가 대학생 자녀 학비 등에 쪼들리던 그는 2년 전 집을 급매물로 내놨지만 지금까지 팔릴 기미가 없다. 그는 올해 임원 재계약마저 안 되면 아무런 대책이 없다. 얼른 집을 팔아 서울 외곽에 전셋집을 구해 수준에 맞게 살고 싶다고 말했다.

통계청의 가계수지 기준에 의하면 한국의 세 집 중 두 집(68%)은 중산층이며 저소득층은 12%에 불과하다. 하지만 통계상 중산층으로 분류된 사람들 중 실제로는 하류층이나 다름없는 사람이 적지 않고, 이 씨처럼 소득이 많아도 가계부채에 시달리는 한계 중산층도 상당수 존재한다. 무리해 집을 산 하우스푸어들은 막대한 가계부채에 시달리고, 집 없는 중산층 중 상당수는 치솟는 전세 월세와 자녀 교육비 부담 등으로 전세 난민 신세로 전락하고 있어서다. 이런 점 때문에 한국의 중산층 붕괴 현상은 표면적인 숫자로 나타난 것보다 훨씬 더 심각한 상황이라는 분석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온다.

대형 건설업체에 20년째 다니고 있는 연봉 7000만 원의 김모 씨(48서울 둔촌동)는 아이들이 이제 중학생이 되면 교육 때문에라도 강남에서 전세를 구해야 한다며 이사를 가면 허울은 강남의 중산층처럼 보일지 몰라도 빚내서 전세금 마련해야지, 비싼 학원 보내야지, 삶이 여러모로 팍팍해질 것 같아 걱정이라고 말했다.

공포 박탈감 등 정신적 상처도 남겨

중산층 붕괴는 내수, 분배구조 등의 지표를 악화시킬 뿐 아니라 경제활동에 대한 국민들의 자신감을 떨어뜨리고, 미래에 대한 불안심리를 키워 심각한 내상()을 남긴다.

특히 최근 1020년간 각종 경제위기를 몸소 겪은 베이붐 세대는 당장 회사에서 잘리면 어떻게 하나?, 지금의 삶의 질을 언제까지 누릴 수 있을까?를 걱정하는 불안 증후군에 시달리고 있다. 전전긍긍하는 기성() 중산층의 모습은 청년세대들에도 미래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게 만든다.

함인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는 내가 중산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귀속 의식은 외환위기 때 한 번 크게 추락했고 2000년대 중반에 높아지는 듯하다가 금융위기 이후 다시 급격히 하락했다며 신분상승의 기대감이 큰 고속성장 시대와 달리 저성장 시대에는 계층구조가 공고해져 사람들이 계층이동이 불가능할 것이라 생각해 좌절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봉급생활자가 대부분인 중산층 사이에서는 국가경제는 잘 나가고 세금도 꼬박꼬박 내는데 정작 내 임금이나 생활수준은 그대로라는 불만도 끊이지 않는다. 경제성장의 낙수() 효과가 자신에게 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초등학교 교사 김모 씨(32여)는 대기업은 사상 최대이익을 냈다고 하고, 국가신용등급도 계속 오른다는데 나는 정작 전셋집 하나 마련하는 데도 허덕이고 있다고 푸념했다.

깊어지는 중산층의 한숨이 경쟁과 비교에 익숙한 세태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소비를 과시하는 시대, TV드라마가 상류사회만 보여주는 요즘 사람들은 항상 타인의 삶이 자기보다 우월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게 마련이라며 외국처럼 주관적 행복감이나 삶의 정신적 가치를 새로운 중산층의 기준으로 삼을 때가 왔다고 지적했다.



유재동 jarret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