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오피니언] 금융계 고대 동지상 학맥

Posted June. 18, 2010 14:06,   

ENGLISH

은행을 비롯한 금융계는 인사()를 둘러싼 잡음이 잦은 편이다. 민간 대주주의 오너십이 없는 지배구조 때문에 정부의 입김에 휘둘리거나, 알아서 권력의 입맛에 맞는 인사를 하는 사례가 많았다. 대통령과 가까운 금융계 출신 측근이 발호하기도 했다. 전두환 노태우 정부 때는 두 사람의 친구인 이원조 씨가 금융계의 황제로 불릴 만큼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김대중 정부에서는 DJ의 처조카 이형택 씨가 금융계를 좌지우지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모교인 고려대와 포항 동지상고 출신 인사들의 약진이 금융계에서 두드러진다. KB금융 회장에 내정된 어윤대 국가브랜드위원장은 대통령의 고려대 경영학과 2년 후배다. 김승유 하나금융 회장은 대통령의 대학 동기동창이고,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은 고려대 법대를 나왔다. 4대 금융그룹 회장 중 신한금융을 제외한 3명이 고려대 출신에다 대통령의 측근으로 꼽힌다. 최원병 농협중앙회장과 이휴원 신한금융투자 사장 등 동지상고 출신 인사들의 주가()도 상한가다. 학교 때문에 인사상 불이익을 봤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그들만의 리그라는 불만도 나온다.

당사자들이나 정부도 할 말은 있을 것이다. 전문성이나 경영능력에서 흠을 잡기 어렵거나 김승유 회장처럼 대선 훨씬 이전부터 그 자리를 지킨 인사도 있다. 정부가 영향력을 행사했다기보다는 금융회사들이 내부적 필요 때문에 대통령의 학맥()을 찾기도 한다. 자신이 완장을 찼을 때는 훨씬 심한 편파인사를 한 사람들이 목청을 높이거나 침소봉대()하는 사례도 눈에 띈다.

우리 사회에서 학연()은 지연()과 함께 인사의 화약고 성격을 갖고 있다. 업무능력이 아닌 부수적 요인에 따른 인사 잡음으로 피해의식과 반감이 확산되면 그 파장은 겉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다. 대통령과 참모들은 이 점을 각별히 유념할 필요가 있다. 요직을 맡은 대통령의 동문들은 더 자기관리와 주변관리를 철저히 해야 할 책무가 있다. 그것이 모교()는 물론 동문 대통령에게 누를 끼치지 않는 일이다. 한때 금융계를 쥐락펴락했던 이원조 이형택 씨가 나중에 권력형 비리사건에 연루돼 사법 처리된 불행한 전철()을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권 순 활 논설위원 shkw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