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비전이 흥망을 결정한다

Posted August. 11, 2004 21:49,   

ENGLISH

리핀 마닐라에 있는 아시아개발은행(ADB)을 방문하는 한국인들이 자주 묻는 질문이 있다. 서울에 있는 문화관광부, 주한 미국대사관 건물과 너무 비슷한데 어떤 사연이 있나요?

그때마다 ADB 관계자들은 서울에 있는 두 건물은 모두 수십년 전 필리핀 엔지니어들에 의해 지어진 건물이라고 소개한다. 실제로 필리핀은 1960년대까지만 해도 아시아에서 일본 다음으로 잘살았고 한국보다는 훨씬 앞서 가는 나라였다. 하지만 지금은 변변한 산업기반이 없어 외국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이 송금해 오는 돈에 의존하는 국가로 추락했다.

국가의 운명을 가르는 미래 비전=2002년 필리핀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965달러. 1980년 671달러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한때 오일달러를 무기로 위세를 떨쳤던 중동 국가들도 추락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통계를 보면 1980년의 경우 1인당 GDP 기준으로 세계 10위권 국가 중에 중동 국가가 4개나 포함됐다. 1, 2, 3위가 모두 중동 국가였다.

그러나 22년 뒤인 2002년 결과는 영 딴판이다. 10위권에 속한 나라는 카타르가 유일하다.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는 1인당 GDP가 같은 기간 1만5319달러에서 8544달러로 추락했다.

반면 싱가포르와 아일랜드는 대조적이다. 제대로 된 자원이 없는 싱가포르의 1인당 GDP는 1980년의 4904달러에서 2002년에는 2만1162달러로 급상승하면서 일류국가로 진입했다.

유럽의 빈국이었던 아일랜드도 1950년대 말 숀 레마스가 집권한 뒤 경제발전 구상을 강력하게 추진하기 시작했다. 과거보다 미래가 더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국민의 반대를 무릅쓰고 어제의 적 영국과 화해하고 외자유치에 힘썼다. 이런 노력들에 힘입어 아일랜드의 1인당 GDP는 3만1333달러(2002년 기준)로 영국을 추월했다.

전문가들은 국가의 흥망성쇠를 가른 핵심 변수로 미래에 대한 비전이 있느냐를 꼽는다.

필리핀은 장기 집권을 하면서 부패했던 마르코스, 현상 유지에 급급한 코라손, 포퓰리즘 정책을 남발한 에스트라다 정권을 거치면서 아시아의 모범생에서 열등생으로 전락했다. 반면 싱가포르는 리콴유라는 탁월한 지도자가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리더십을 발휘하면서 일약 일등국가로 발돋움했다.

근 10년 후 한국이란 베스트셀러를 통해 우리 사회의 위기를 경고한 공병호(경제학) 박사는 실패한 국가의 주요 특징은 미래에 대한 비전을 키우지 못하고 우물 안 개구리식의 사고방식이 강하다는 점이라며 가령 중동의 시대정신이 계속 과거지향적이고 내부지향적이며 미 제국주의 타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중동의 재기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기업도 미래를 준비해야 살아남는다=미국의 미디어그룹 다우존스사는 미국의 초우량기업들로 다우존스지수 종목을 선정한다.

1896년 처음 선정됐던 1세대 종목 12개 중에서 현재까지 다우존스지수 종목(현재는 30개 종목으로 구성)에 남아 있는 회사는 제너럴일렉트릭(GE) 한 개밖에 없다. 나머지는 탈락했다. 아예 망해 사라진 회사도 많다. 미래를 읽지 못하는 회사는 도태될 수밖에 없는 기업 생태계의 철칙을 보여 준다.

재봉틀의 대명사인 싱어는 한때 뉴욕에 47층짜리 사옥을 건설할 정도로 일류회사였다. 그러나 기성복의 등장이라는 시대의 흐름을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1999년 법원에 파산신청을 해 150년의 역사를 마감해야 했다.

가수 보아의 성공이 시사하는 것=가수 출신 사업가로 SM엔터테인먼트의 대주주인 이수만씨.

그는 1998년 가수 지망생인 오빠의 오디션에 따라 나왔던 보아(당시 초등학교 5학년)를 보자 바로 그의 미래가치를 알아채고 그 자리에서 발탁했다. 이후 보아는 2년 동안 춤과 노래를 배우고 일본에서는 6개월 동안 현지 아나운서에게서 일본어 개인교습을 받았다. 이후 보아는 일본에서 1000억원이 넘는 매출을 올리는 등 1인 기업으로 성장했다.

음악평론가 임진모()씨는 엔터테인먼트산업은 특성상 시대의 흐름 속에서 미래에 대한 안목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며 미래 비전의 중요성은 개인과 기업은 물론 국가경영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