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완기(Flaccid phase):영양 공급 목적으로 단지 최소량의 혈류가 유입되는 상태.음경 기저부의 발기 동맥(해면체 동맥)의 직경이
0.5 mm정도이며 최고 혈류 유입속도가 초속 15 cm 정도이다.
- 잠재기(Latent phase):해면체 내압이 올라가기 시작하고 음경이 약간 길어진다.심장이 수축할때나 이 완될때나 혈류가 음경내로 유입된다.
발기 동맥의 직경이 2배 정도 늘어나고 최고 혈류유입 속도가 초속 30 cm이상이다.혈류 속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다.
- 팽창기(Tumescent phase):해면체 내압이 증가함에 따라 혈류 유입률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완전 발기될때까지 점진적으로 혈류 유입률이 떨어지게 된다..
음경의 최대 용적까지 급속히 팽창되고 길어진다. 해면체 내압이 이완기 혈압에 도달하면 심장의 수축기에만 혈류가 유입된다.
- 완전발기기(Full erection phase):해면체 내압이 일정해지며 수축기 혈압의 85%에 이른다. 이 시기에는 음경 용적과 해면체 내압이 일정하기 때문에 동맥의 유입
혈류량와 정맥 유출 혈류량이 같아진다.
유입혈류와 유출혈류가 팽창기보다 적지만 이완기보다는 약간 많다.
- 강직성 발기기(Rigid erection phase): 완전 발기가 자율신경에 의해 유발된 혈관 현상이라면 강직발기는
체신경의 자극으로 골격근이 수축하여 유발된 것이다.
즉 발기 신경(해면체 신경)의 자극으로 이루어진 완전 발기는 해면체 내압이 수축기혈압보다 약간 낮다. 그러나 Pudendal n의 자극으로 IC근육이 수축하면
해면체 내압이 수축기 혈압보다 오히려 약간 높아진다.이때 발기 동맥의 상류인 내음부동맥의 혈류가 멈추고 발기 동맥의 혈류도 정지상태이다.
음경 해면체 내부는 일종의 죽은 공간(Dead space)라고 말할 수 있다. 이시기는 근육의 피로때문에 수분 이상 지속될 수 없다.하지만 허혈은 초래되지 않는다.
- 해소기(Detumescent phase:):신경의 전기 자극이 중단되면 해면체 내압이 일시적으로 약 5mmHg 만큼 증가한다.
이것은 해면체 소공내의 혈액을 쥐어짜 내보내기 위해서 해면체내의 발기 근육(평활근)이 수축되기 때문이다.
동맥 혈류가 감소하여 이완기 수준으로 떨어지고 완전히 이완될때까지 음경이 작아지고 짧아진다.
발기시 귀두의 변화: 귀두부위와 배부정맥간에는 차단벽이 없기 때문에 귀두내의 압력은 해면체 내압의 절반정도로
배부정맥의 압력과 거의 같다.
따라서 귀두부는 음경의 발기시에 동정맥루(A-V Fistula)의 역할을 한다.이것은 발기된 음경 해면체가 질내 삽입 후 격렬한 피스톤 운동으로 자궁경부에 대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흡수 기능을 할수 있도록 해 준다. 발기의 5 시기는 귀두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다만 완전 발기시기에 이완시기 보다 훨씬 많은 혈류가 흐른다.
그 이유는 완전 발기시기에 음경해면체를 둘러싸고 있는 여러 막상 구조가 긴장되어 그사이에 끼어있는 배부정맥을 압박하여 귀두부 내압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구해면체근과 IC근육이 수축되는 강직 발기시기엔 더욱 배부 정맥이 눌려 귀두부 내압이 한층 올라가 울혈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