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산 탈춤은 해서(海西), 곧 황해도 전지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해서 탈춤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탈놀이이다. 

  봉산 탈춤은 약 200년 전에 이 고장의 이속(吏屬, 아전)들에 의하여 놀아져 왔다. 여기에 나오는 재담은 여느 탈놀이에 비해 한시의 인용과 풍자적인 시문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이 놀이는 황해도 지역의 큰 명절인 단오에 놀았다. 원래 옛 봉산읍 경수대(競秀臺)에서 놀았으나, 1915년경에 행정기관이 사리원(沙里院)으로 옮기면서 그곳의 경암산(景岩山) 아래에서 놀게 되었다. 예 봉산읍의 경수대는 강변에 위치한 평평한 터로 석벽 밑에 겨우 무릎이 닿을 정도의 돌축대를 쌓았다고 한다. 이와 같이 축대 위나 평지의 탈판에서 노는 것이 해서 탈춤의 공통된 특징이다. 

  이러한 야외 무대는 『경도잡지(京都雜志)』에 나오는 야희(野戱,가면극)의 전통을 잘 보여 주고 있다. 탈판은 낮에는 남자들의 씨름과 여자들의 그네뛰기에 사용되다가 밤에는 장작불을 피워 놓고 밤새도록 노는 탈놀이에 사용되었다. 대상은 주로 농민과 장터의 상인들이었지만 관아의 축일이나 중국의 사신을 접대할 때 특별히 놀기도 하였다. 

  황해도 지역에서는 탈놀이를 하면 그해 마을에 재앙이 없고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특히 놀이 절차에서 사상좌(四上佐)춤과 사자춤은 벽사의 기능을 하였으며 마지막 절차에서는 탈을 불사르는 의식이 있었다. 놀이 내용은 벽사 의식무와 굿, 파계승에 대한 풍자, 양반에 대한 조롱과 모욕, 처첩 사이의 대립과 갈등, 서민 생활의 애환 등을 그 주제로 하고 있다. 

  봉산 탈춤은 피리, 젓대, 해금, 북, 장구 등으로 구성된 삼현육각으로 연주하는 염불, 타령·굿거리곡에 맞추어 추는 춤이 주가 되며 몸짓과 동작, 재담과 노래가 따른다. 대사는 여느 탈춤에 비해 한시 구절의 인용이 많고, 취발이와 말뚝이의 대사가 그 가운데 흥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