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네거티브에 맞서는 방법은 3색대응전략과 한계

네거티브에 맞서는 방법은 3색대응전략과 한계

Posted October. 25, 2012 02:59   

中文

네거티브 의혹은 진화하려고 하면 할수록 불길이 더 거세지는 속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무시 전략, 반박 전략, 면역 전략 등 다양한 대응 방법을 제시하지만 모든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매뉴얼은 없다는 게 각 대선후보 캠프의 고민거리다.

무시전략은 유력후보가 군소후보들의 공격에 대응할 때 효과적이다. 굳이 반응을 보여 군소후보를 키워줄 필요가 없다는 것. 통합진보당이나 진보정의당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계속 공격해도 새누리당이 좀처럼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도 무시전략의 일환이다. 다만 이 전략은 지지율이 팽팽한 1, 2위 후보 사이에선 큰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무반응으로 일관하다가 자칫 대응 시점을 놓치면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상대방이 네거티브 공세를 펼칠 때 관련 사실을 즉각 부정하고 보복을 가하는 반박전략은 전형적인 대응 방법이다. 하지만 반박전략도 선거 막판에는 별 효과가 없다. 진실이 밝혀지기 전에 양측이 공방을 벌이다가 선거가 끝나기 때문이다. 2002년 김대업 씨가 당시 이회창 후보의 아들 병역면제 의혹을 제기해 선거판을 흔들어 놓았다. 2004년 대법원 판결에서 김 씨의 의혹 제기가 거짓으로 드러났지만 이미 선거는 끝난 뒤였다. 더 큰 문제는 반박전략으로 대응할 경우 상대방이 쳐놓은 프레임에 갇힐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새누리당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 의혹을 제기하며 민주당을 압박하자 민주당은 2007년 남북정상회담 직후 노 전 대통령의 발언과 언론보도를 공개하며 맞불을 놓았다. 하지만 새누리당이 쳐놓은 프레임에서 민주당이 좀체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모습이다.

면역(예방주사) 전략은 네거티브 대상이 될 만한 사항을 미리 털어놓아 그 효과를 반감시키는 것이다. 선거전이 본격화되기 전에 문제가 커질 만한 사안을 미리 공론에 부쳐 일종의 예방주사를 맞는 셈이다. 하지만 서투른 고백은 긁어 부스럼을 만들 수 있다. 최근 정수장학회 논란에 대해 박 후보가 입장을 밝혔다가 법원 판결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며 되레 야당의 공세에 빌미를 제공한 게 단적인 사례다.

전문가들은 이런 전략들이 일부 효과는 있지만 한계가 있는 만큼 좀 더 능동적인 해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김무곤 동국대 언론정보대학원장은 언론과 시민단체 그리고 정당이 협업 체제를 구축해 공정한 정보를 즉시 알리는 것이 가장 좋은 네거티브 대응 방법이라고 말했다.



손영일 scud2007@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