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청년을 敗者만드는 낡은 구조, 2030세대 스스로 바꾸게 하자

청년을 敗者만드는 낡은 구조, 2030세대 스스로 바꾸게 하자

Posted January. 03, 2020 07:46   

Updated January. 03, 2020 07:46

中文

 동아일보가 올해 창간 100주년을 맞아 기획한 ‘청년, 꼰대를 말하다’ 시리즈에서 청년세대는 “우리 이야기를 들어 달라”며 기성세대에 절절한 호소를 했다. 조국 사태에서 드러난 입시 반칙, 공공기관에 만연한 고용세습, 비정규직 청년노동자의 죽음…. 기성세대가 쌓아올린 기득권의 철옹성에 부딪혀 청년이라는 이유로 패자가 되는 구조 아래서 이들은 신음하고 있다. “꼰대가 아닌 어른이 되어 달라”는 외침은 기성세대가 만든 낡은 경기 규칙에 억눌린 청년세대의 항변일 것이다.

 1987년 민주화 이후 30여 년 동안 정치적 민주화는 쟁취했으나 최근들어 저성장과 사회·경제적 양극화가 심해지는 상황이다. 노동·교육·주택시장에 진입한 기성세대는 진입 장벽을 높여 부와 기회를 독점했고 이는 청년들의 계층이동을 봉쇄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미래가 없다’고 판단한 청년들은 결혼파업, 출산파업 등 침묵으로 저항해 왔다. 그 결과,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잠정적으로 0명대를 기록했으며 앞으로 10년 뒤면 대한민국의 절대 인구가 감소한다. 

 사회 전체가 정체되고 갈등과 분열이 심화되는 상황을 타파하려면 청년세대가 중심이 되어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서 혁신이 일어나야 한다. 과거 먹고 살기에 급급했던 시대의 산업화 역군이나 글로벌 흐름에 뒤쳐진 채 진영논리에 함몰된 ‘386’으로 대표되는 민주화세대로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기술혁명의 진전에 따른 사회 변화, 다원화된 사회의 새로운 요구에 부응할 수 없다. 프랑스 핀란드 캐나다 등 세계 곳곳에서 청년 리더가 속속 탄생하고 있는 데에는 이런 시대적인 요구가 반영된 것이다.

 우리 사회에선 그나마 경제계부터 세대교체가 촉발됐다. 세계 경제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상황에서 산업화시대의 사고방식을 벗어나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할 수 있는 젊은 피의 수혈을 가속화하고 있다. 지난해 말 주요 기업들의 인사에서는 밀레니얼 세대인 30대 임원 발탁이 늘고 40대의 임원 승진이 주류를 이뤘다.

 정치권은 아직 낡은 문법에서 벗어나지 못 하고 있다. 국회 구성을 보면 민의의 분포와는 거리가 한참 멀다. 국회의원 평균 나이는 55세로 국민 평균(41세)보다 14세나 높고 평균 재산은 41억 원으로 국민 평균(3.4억 원)보다 12배 많다. 기득권으로 뭉친 이런 집단 안에서 사회적 패권 교체를 주장하는 여당이나 정권 심판만 외칠 뿐 대안적 가치를 보여주지 못 하는 야당 모두 국민의 눈높이에서는 실격이다. 올해 총선에서 과감한 세대교체를 통해 청년들을 배제해온 의사결정 구조를 바꿔야 할 이유다. 그렇지 않으면 청년의 삶을 바꿀 정책은 요원할 것이다.

 2020년은 다음세대를 살아갈 청년 스스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세대교체의 물꼬를 트는 해가 돼야 한다. ‘민주’ ‘평등’을 외친 세대가 우리 사회 각 분야의 주역이 되었는데 오히려 기득권이 심화됐다는 역설적인 현상은 그 세대의 책임을 묻고 있다. 산업화세대를 퇴장시킨 386세대가 이제 청년세대에게 미래를 열 기회를 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