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릴린 로빈슨 “귀한 상 받으니 국제 작가란 느낌… 국경 넘은 관심에 큰 힘”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9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제3회 박경리문학상에 메릴린 로빈슨]
■ 수상자 로빈슨 인터뷰

단 세 편의 소설로 영미권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가 된 메릴린 로빈슨은 기독교적 휴머니스트로서 현실 사회의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발언해 왔다. 구글 검색 이미지
단 세 편의 소설로 영미권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가 된 메릴린 로빈슨은 기독교적 휴머니스트로서 현실 사회의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발언해 왔다. 구글 검색 이미지
“수상 소식을 접하고 국제 작가공동체의 일원이라는 느낌이 들어 매우 기뻤습니다. 한국에 자국의 문화 경계를 넘어 동시대 문학에 관심을 기울여 주는 상이 있다는 사실이 저처럼 다른 나라 작가에게 큰 힘이 됩니다.”

제3회 박경리문학상 수상자인 메릴린 로빈슨(70)은 동아일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이렇게 수상 소감을 밝혔다. ‘하우스키핑’(1980년), ‘길리아드’(2004년), ‘홈’(2008년), 이 세 편의 장편소설로 미국 문학의 고전작가 반열에 올랐다는 찬사를 받는 로빈슨은 기독교적 휴머니즘에 기반을 두고 현실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작가로 유명하다. 그는 다음 달 내한해 시상식을 비롯한 각종 행사에 참석할 예정이다.

―에임스 목사가 어린 아들에게 남긴 서간문 형식의 대표작 ‘길리아드’를 쓸 때 장 칼뱅의 사상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한 적이 있는데….

“칼뱅의 영향 아래 제네바에서는 유럽의 다른 나라에선 금지됐던 기독교 성서의 번역과 인쇄가 이뤄졌고 여자아이도 남자와 똑같이 교육받아 그 지식을 나눠 가질 수 있었다. 모두 인간 개개인이 신의 형상을 하고 있다고 가치를 부여하고 인간 정신과 양심의 가치를 높이 평가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칼뱅의 사상을 담은 저작은 북미를 비롯한 전 세계에 영향을 줬고, 나 역시 큰 영향을 받았다.”

―‘길리아드’의 결론을 보면 에임스 목사가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사이의 화해를 모색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작가의 세계관과 무관치 않을 것 같다.

“나는 스스로를 자유주의자(리버럴)로 생각하지만 과거에 큰 관심을 갖고 과거를 존중한다는 점에서는 보수적이다. 나는 토머스 제퍼슨이나 에이브러햄 링컨 같은 이들이 가졌던 사상과 식견이 과거는 물론이고 지금까지도 우리 사회를 해방시키는 변화를 만들어 내고 있다고 믿는다.”

―‘길리아드’와 ‘홈’의 공간적 배경인 길리아드(길르앗)라는 마을 지명은 기독교 성서에도 자주 등장한다. 길리아드라는 공간이 작가에게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성서에서 길리아드는 치유와 재생의 공간이다. 초기 미국 정착민들은 노예제 같은 죄악에 물들지 않은 선한 공동체를 만들겠다는 희망을 담아 자신들의 마을 이름을 길리아드로 붙인 경우가 많았다. 선한 공동체를 만들고자 하는 희망과 이로 인한 실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공간이 길리아드다.”

―논픽션 ‘모국’에선 영국의 핵 재처리 과정을 둘러싼 정치적 부패와 환경오염 문제를 다뤘다. 현대사회의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한 사람의 기독교적 휴머니스트로서 전 세계적으로 가난한 이들에게 너무 과중한 부담을 지우는 경제 구조에 충격을 받았다. 이것은 지구 차원의 문제다. 세계 평화를 지켜온 정치구조가 지난 60여 년간 계속 약화돼 온 것도 우려한다. 이 두 문제는 긴밀히 연관돼 있다.”

―박경리 선생의 작품을 읽어봤나.

“아쉽지만 아직 읽어보지 못했다. 다만 박경리문학상이 선생의 이름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한국의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은….

“내 작품에 관심을 가지고 수상의 영예까지 안겨줘 감사하다.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여러분의 자랑스러운 나라 한국을 방문하게 되길 고대한다.”

우정렬 기자 passion@donga.com
#메릴린 로빈슨#박경리 문학상#로빈슨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