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586>孟武伯이 問孝하니, 子曰, 父母唯其…

  • 입력 2009년 1월 6일 02시 59분


孟武伯이 問孝하니, 子曰, 父母唯其疾之憂니라 하다.

‘논어’에서 공자는 대화를 통해 孝(효)의 본질을 명료하게 가르쳐주고는 했다. 爲政(위정)편의 이 대화는 짧지만 공자의 성품을 잘 상상할 수 있게 한다.

父母唯其疾之憂(부모유기질지우)에서 唯(유)는 다만, 그저의 뜻이다. 惟(유)라고 적어도 통한다. 疾(질)은 질병(疾病)이란 말이다. 고전에서는 疾(질)이 병에 해당하고 病(병)은 심해졌다는 뜻이었다. 憂(우)는 憂慮(우려)한다는 뜻이다. 唯其疾之憂(유기질지우)는 唯憂其疾(유우기질)의 순서를 바꾸어 글의 뜻을 강조한 것이다.

孟武伯(맹무백)은 魯(노)나라 大夫(대부)의 맏아들이었는데 마음이 착했다. 그가 “孝란 무엇입니까?”라고 묻자 공자는 “부모는 그저 병들까 걱정할 따름이네”라고 대답했다. 맹무백은 건강이 좋지 않았나 보다. 그렇기에 “그대는 건강 때문에 혹 부모에게 걱정을 끼칠 우려가 있으므로 몸을 건강하게 하는 일이야말로 그대에게는 孝일세”라고 말했다.

또는 “孝子(효자)라 해도 질병에 걸릴 수가 있으므로 부모에게는 자식이 질병에 걸릴까 염려하는 걱정만은 어쩔 수 없이 남겨두되 다른 걱정은 일절 끼쳐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고 보아도 좋다. 혹 其疾(기질)을 부모의 질병으로 풀이한다면 이 구절은 孝行(효행)이란 자식이 부모가 병에 걸리지 않기만을 늘 걱정하는 마음을 지니는 것이라는 뜻이 된다.

부모에게 큰 걱정을 끼치지 않는 것이 孝의 본질이다. 송나라 때 邵雍(소옹)은 큰 추위, 큰 더위, 큰 바람, 큰 비가 있으면 집밖으로 나가지를 않았다. 게으르거나 자기 몸을 아껴 그런 것이 아니다. 부모에게 걱정을 끼치지 않으려고 자기 몸을 恭敬(공경)했기 때문이었다. 곧, 소옹의 四不出(사불출)은 敬身(경신)을 통해 孝를 이룬 것이었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